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포토[布土] 땅의 구획을 정함.
❏ 포편[蒲鞭] 포편은 부들로 만든 채찍으로 너그러운 형벌을 말한 것이다. 후한(後漢) 때 유관(劉寬)이 남양태수(南陽太守)가 되었을 때, 그는 본성이 온화하고 인자한 관계로 혹 아전들이 과실을 범했을 적에는 부들 채찍[蒲鞭]으로 때려서 모욕만 줄뿐이었고, 끝내 아프게 때리지 않았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劉寬傳>
❏ 포해[蒲海] 포류해(蒲類海)의 준말로 신강성(新疆省)에 있는 호수 이름이다.
❏ 포호빙하[暴虎憑河] 맨손으로 범을 두드려 잡고 황하(黃河)를 맨발로 건넌다는 데서, 용기는 있지만 무모함을 말한다.
❏ 포호심장[包虎深藏] 전란이 평정되어 무기를 창고에 넣는 것을 말한다. 예기(禮記) 악기(樂記)에 “무왕(武王)이 목야(牧野)에서 주(紂)를 이기고 은나라 서울로 들어가서는……간과(干戈) 등을 칼날을 뒤로 뒤집어서 수레에 실었는데, 모두 호피로 쌌다.”라고 하였다.
❏ 포홀[袍笏] 도포(道袍)와 홀을 이르는 말로, 즉 조복(朝服)을 의미한다.
❏ 포황[包黃] 예전에 중국에서 처음으로 짐승을 기르기 시작한 이를 복희씨(伏犧氏)라 하는데, 포희씨(包犧氏)라고 한다. 또 처음으로 배[舟]·수레[車]·창[槍]과 방패[干]를 만들어서 전 중국에 처음으로 군림한 사람을 황제헌원씨(黃帝軒轅氏)라 한다. 여기에는 그 두 사람을 말한 것이다.
❏ 포효[狍鴞] 양(羊)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고 범과 같은 이빨로 사람을 잡아먹고 산다는 괴수(怪獸)의 이름이다.
❏ 포희팔괘[包羲八卦] 주역(周易)의 팔괘(八卦)는 상고(上古)에 포희씨(包羲氏)가 처음 그었다 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건반대[幅巾鞶帶], 폭건한탁[幅巾澣濯], 폭소[爆笑], 폭원[幅員], 폭의[曝衣], 폭진[暴殄] (0) | 2023.04.24 |
---|---|
포참[抱槧], 포철[餔歠], 포초[鮑焦], 포초래[蒲梢來], 포취만거[鮑臭滿車] (0) | 2023.04.24 |
포장박뢰풍[鋪張薄雷風], 포정해우[포丁解牛], 포조[餔糟], 포주녀[抱裯女], 포즉양거[飽則颺去] (0) | 2023.04.20 |
포용도[包龍圖], 포육천교[飽肉天驕], 포의제왕사[布衣帝王師], 포인계육[庖人繼肉] (0) | 2023.04.05 |
포오호[哺烏呼], 포옹[逋翁], 포옹고[抱甕苦], 포옹장인[抱甕丈人], 포옹한음[抱甕漢陰] (0) | 2023.03.30 |
포양[蒲楊], 포어사[鮑魚肆], 포어석[鮑魚石], 포연[酺宴], 포엽[蒲葉] (0) | 2023.03.30 |
포손[抱孫], 포숙[鮑叔], 포숙아[鮑叔牙], 포식난의[飽食暖衣], 포신구화[抱薪救火] (0) | 2023.03.30 |
포새[蒲塞], 포석[蒲席], 포석정[鮑石亭], 포선[逋仙], 포선망작규[捕蟬忘雀窺] (0) | 2023.03.30 |
포사[鮑謝], 포사[褒姒], 포사곡[褒斜谷], 포사자설[捕蛇者說], 포산[逋散], 포상[苞桑] (0) | 2023.03.30 |
포박자[抱朴子], 포박제[抱璞啼], 포백숙속[布帛菽粟], 포벽[蒲璧], 포비[飽飛]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