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화령[和寧] 화령은 함경도 영흥(永興)의 고호이다.
❏ 화록[畫鹿] 정홍(鄭弘)이 어느 날 자기 수레 뒤에 백록(白鹿)이 따라오는 것을 보고 이상히 여겨 주부(主簿)에게 묻자 “삼공(三公)의 수레에는 다 사슴을 그렸는데 지금 백록이 뒤를 따르니 명공(明公)은 반드시 재상이 될 것이다.”라고 대답한 고사이다. <한서漢書>
❏ 화록점상[畵鹿占祥] 재상이 될 상서. “정홍(鄭弘)이 임회(臨淮) 태수가 되어 행차하는데 두 사슴이 수레를 따라 오는지라, 주부(注簿) 황국(黃國)이 절하며 하례하되, 듣건대 삼공(三公)의 수레에는 사슴을 그린다 하오니, 명부(明府)께서 마땅히 재상이 되리이다.”라고 하였다. 홍이 과연 태위(太尉)가 되었다.
❏ 화룡[火龍] 더운 기운이 이글이글 타오르는 모양. 왕곡(王轂)의 고열행(苦熱行)에 “축융이 남으로 와 화룡을 매질하니, 화기가 이글이글 하늘을 불사르네.[祝融南來鞭火龍 火旗焰焰燒天紅]”라고 하였다.
❏ 화룡점정[畵龍點睛] 용을 그릴 때 마지막으로 눈동자에 점을 찍어 완성시킴. 남북조(南北朝)시대, 남조(南朝)인 양(梁)나라의 명화가(名畵家)가 장승요(張僧繇)가 용(龍)을 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눈동자를 점 찍어 그려 넣으니 그 용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는 수형기(水衡記)의 고사(故事)에서 유래한 말이다. 사물의 가장 요긴(要緊)한 곳, 또는 무슨 일을 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끝내어 완성시키는 것을 말한다.
❏ 화룡지사백제월[火龍之祀白帝月] 화룡은 간지(干支)로 병진(丙辰)을 뜻하고 백제(白帝)는 가을을 맡은 신(神)이므로, 즉 1616년인 병진년 가을을 가리키는데, 이때에 광해군(光海君)은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하기 위해 김제남(金悌男)을 추형(追刑)하였고, 참신(讒臣)정조(鄭造) 등은 광해군의 비행을 적극 도우면서 선량한 조신(朝臣)들을 많이 처벌하였다.
❏ 화류[花柳] 화가유항(花街柳巷)의 준말. 기생 또는 유곽(遊廓)을 말한다.
❏ 화류[驊騮] 화류는 대추 빛깔의 준마(駿馬)로 주 목왕(周穆王)이 타고서 서왕모(西王母)를 만나러 갔다는 팔준마(八駿馬)의 하나이다.
❏ 화륜[火輪] 화륜은 해를 가리킨다.
❏ 화리[花梨] 종려나무[棕櫚]이다.
❏ 화림[花林] 화림은 안음(安陰)의 고호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화극[畫戟], 화금[火金], 화당[華堂], 화도박수[鞾刀帕首], 화두[話頭] (1) | 2025.11.20 |
|---|---|
| 화광동진[和光同塵], 화괴[花魁], 화교자촉[和嶠刺促], 화교전[和嶠錢], 화궁[花宮] (0) | 2025.11.14 |
| 화각[畫角], 화간[禾竿], 화개[華蓋], 화견[禾絹], 화곤[華袞], 화공[畫栱], 화공[化工] (1) | 2025.11.06 |
| 홍준저[鴻遵渚], 홍질발[紅叱撥], 홍추[鴻樞], 홍포[紅袍],홍한[紅汗], 홍화[弘化] (0) | 2025.11.05 |
| 홍우[紅雨], 홍우점[鴻羽漸], 홍운[紅雲], 홍운전각[紅雲殿閣], 홍유효법곤[鴻猷效法坤] (0) | 2025.10.23 |
| 홍아[紅牙], 홍애견박[洪崖肩拍], 홍애자[洪厓子], 홍약[紅藥], 홍연[弘演], 홍엽제시[紅葉題詩] (0) | 2025.10.16 |
| 홍비명명[鴻飛冥冥], 홍비준저[鴻飛遵渚], 홍삼[紅衫], 홍상[紅裳], 홍속[紅粟], 홍수[紅袖], 홍시[鴻視] (0) | 2025.10.02 |
| 홍몽[鴻濛], 홍문[鴻門], 홍범구주[洪範九疇], 홍벽천구[弘璧天球], 홍보[鴻寶], 홍부[紅腐] (0) | 2025.09.29 |
| 홍루[紅淚], 홍류적[鴻留迹], 홍릉병[紅綾餠], 홍린약빙[紅鱗躍氷], 홍명익[鴻冥弋], 홍모척[鴻毛擲] (0) | 2025.09.25 |
| 홍련막[紅蓮幕], 홍렬[鴻烈], 홍로[鴻臚], 홍로점설[紅爐點雪], 홍록현[紅綠眩] (0) | 2025.09.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