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항아[姮娥] 항아는 본시 예(羿)의 아내인데 예(羿)가 구해둔 불사약(不死藥)을 훔쳐 먹고 월궁에 도망가서 혼자 살았다. 회남자(淮南子) 남명훈(覽冥訓)에 “예(羿)가 서왕모(西王母)에게서 불사약을 얻어 왔는데, 이것을 항아(姮娥)가 도둑질해 먹고 신선이 되어 달 속에 들어가 월정(月精)이 되었다.”라고 하였다.

항아계수[姮娥桂樹] 항아는 달을 가리킨 것으로 달에는 계수나무가 있으며 흰 토끼가 옥도끼로 약을 찧어 인간에 보낸다는 전설에서 나온 것이다.

항아분월[嫦娥奔月] 예(羿)가 서왕모(西王母)에게서 불사약을 부탁해 가져왔는데 예의 아내 항아(姮娥)가 이를 훔쳐먹고 월궁으로 날아가 버렸다. 항아는 약을 먹기 전 미리 유황(有黃)이라는 무당에게 그녀를 대신하여 점을 치게 했다 한다. 유황이 점을 친 후 항아에게 말하길 “점괘 결과가 매우 길하며, 그대는 홀로 서쪽으로 가게 될 터인데 두려워할 것이 없으며, 이후로 앞길이 밝으리라.”고 하였다. 항아는 무당의 말을 듣고 망설일 것도 없이 단호하게 불사약을 삼키고 월궁으로 날아가 버렸다. 그러나 그녀가 월궁에 도착하자마자 뜻밖에도 두꺼비로 변하였다. 후세에 장기적인 유전 과정 중에서 약을 훔치는 내용은 약화되었고, 두꺼비로 변한 대목은 차츰 사라져서 항아는 결국 순결하고 아름다운 여신으로 형상화 되었다.

❏ 항아지고서[姮娥之孤棲] 옛날에 후예(后羿)가 불사약(不死藥)을 구해 두었더니, 그의 아내 항아(姮娥)가 그것을 훔쳐 먹고 월궁으로 도망가서 외롭게 산다는 신화(神話)가 있다.

항액[亢軛] 수레의 가로목을 높이다. 나란히 달리다.

항영[項嬰] 항우가 장이를 상산왕으로 봉하고 그의 심복인 항영을 장이의 상국으로 보내 감시하게 했다. 이에 진여에게 패한 장이는 항우의 질책을 두려워한 나머지 초나라를 배반하고 항영의 목을 베어 가지고 유방에게 투항했다.

항왕[降王] 항왕은 곧 신라의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敬順王)을 이르는데, 그의 재위시(在位時)에는 특히 군웅(郡雄)이 할거함으로써 국력이 쇠퇴해짐과 동시에 후백제의 침공을 자주 받게 되자, 민심이 이미 기울어진 고려 태조(高麗太祖)에게 항복을 했던 것을 이른 말이다.

항왕목중동[項王目重瞳] 항왕은 초왕(楚王) 항우(項羽)로 이름은 적(籍). 중동(重瞳)은 한 눈에 두 개의 눈동자가 있는 것으로 훌륭한 사람의 상(相)이라 한다. 사기(史記) 항우기찬(項羽紀贊)에 “옛날 순(舜) 임금이 중동이란 말을 들었는데, 항우도 중동이었다 한다.”라고 하였다.

항왕무뢰목중동[項王無賴目重瞳] 항우(項羽)의 눈에 동자(瞳子)가 둘씩이라 한다. 항우가 눈에 동자가 둘씩이나 가졌으면서 한신과 같은 훌륭한 장수를 몰라보고 버려서, 자기의 적(敵)인 한왕(漢王)에게 가도록 하였다는 말이다.

항요[恒曜] 항성(恒星)을 말한다.

 

반응형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분[解紛], 해사[薤詞], 해산도솔[海山兜率], 해삼고[海三枯], 해상유의[海上留衣], 해서[楷書], 해성[諧聲]  (0) 2024.07.18
해로가[薤露歌], 해로동혈[偕老同穴], 해만만[海漫漫], 해망은조[解網殷祖], 해망축[解網祝]  (0) 2024.07.01
해낭[奚囊], 해노습득[奚奴拾得], 해당시[海棠詩], 해라[海螺], 해란[陔蘭], 해랑[奚囊]  (0) 2024.06.28
해가[薤歌], 해갑당[蟹甲鐺], 해객조[解客嘲], 해곡[嶰谷], 해구맹[海鷗盟], 해궁[海宮], 해기[薤鄿]  (0) 2024.06.27
항장검무[項莊劒舞], 항주소일[杭州消日], 항풍항우[恒風恒雨], 항하사[恒河沙], 항해금경[沆瀣金莖], 항행[抗行]  (0) 2024.06.24
항사[恒沙], 항산[恒産], 항산사[恒山蛇], 항산항심[恒産恒心], 항성천[恒星天], 항심[恒心]  (0) 2024.06.19
항간[行間], 항기궁자미[恒飢窮子美], 항남[巷南], 항룡유회[亢龍有悔], 항백[巷伯], 항북유[巷北遊]  (1) 2024.06.18
합잠[盍簪], 합종연횡[合縱連橫], 합좌소[合坐所], 합포환주[合浦還珠], 합합[嗑嗑], 합환전[合歡殿]  (0) 2024.06.17
합고[合考], 합구초[合口椒], 합궁[合宮], 합근[合巹], 합덕[合德], 합승거[合乘車], 합영[合穎]  (0) 2024.06.13
함함[嗛嗛], 함향기초[含香起草], 함향봉군[含香奉君], 함화록[㗸花鹿], 함휼[銜恤], 함흥차사[咸興差使]  (0) 2024.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