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홍우[紅雨] 붉은 꽃잎이 비처럼 떨어지는 것을 형용한 표현이다.
❏ 홍우점[鴻羽漸] 기러기가 날 때 서서히 상승하듯이 벼슬이 점점 올라감을 말한다. 홍점(鴻漸).
❏ 홍우정[洪宇定] 홍우정은 조선조 선조~효종 연간의 지사(志士)로 자는 정이(靜而), 호는 두곡(杜谷)이다. 조정에서 누차 벼슬에 임명했으나 끝내 나가지 않고 영남 문수산(文殊山)에 은거, 생애를 마쳤다. 저서에는 두곡집(杜谷集)이 있다.
❏ 홍운[紅雲] 제왕을 상징한 것이다. 하늘의 옥황상제가 있는 곳에는 언제나 홍색 구름이 감싸고 있다고 한다. <翼聖記>
❏ 홍운봉일상[紅雲捧日上] 황제의 궁궐을 가리킨다. 선인(仙人)이 사는 곳에는 늘 붉은 구름이 에워싸고 있다고 한다. 참고로 소식(蘇軾)의 시에 “侍臣鵠立通明殿 一朶紅雲捧玉皇”이라는 구절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36 上元侍飮樓上三首呈同列>
❏ 홍운전[紅雲殿] 옥황상제의 궁궐로, 늘 붉은 구름으로 에워싸여 있다고 한다.
❏ 홍운전각[紅雲殿閣] 황제의 궁성(宮城)을 가리킨다. 선인(仙人)이 사는 곳에는 늘 붉은 구름이 드리워져 있다는 전설에서 유래한 것이다.
❏ 홍원로[洪元老] 원로는 홍명구(洪命耈)의 자(字)이다.
❏ 홍유보불[弘儒黼黻] 홍유는 신라의 명유(名儒) 설총이다. 보불은 관복(官服)에 수놓은 무늬인데 곧 훌륭한 예악문물(禮樂文物)을 가리킨다.
❏ 홍유손[洪裕孫] 자는 여경(餘慶), 호는 소총(篠叢)이다. 조선조 세조가 찬위(簒位)하자 세속의 영화를 버리고 남효온(南孝溫)·이총(李摠) 등과 죽림칠현(竹林七賢)을 자처 노장(老莊)을 토론하며 시주(詩酒)로 세일을 보내어 청담파(淸談派)로 일컬어졌다.
❏ 홍유효법곤[鴻猷效法坤]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상(上)에 “지혜는 높이는 것이요, 예법은 낮추는 것이니, 높이는 것은 하늘을 본뜬 것이요, 낮추는 것은 땅을 본뜬 것이다.[知崇禮卑 崇效天 卑法地]”라는 말이 나온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홍아[紅牙], 홍애견박[洪崖肩拍], 홍애자[洪厓子], 홍약[紅藥], 홍연[弘演], 홍엽제시[紅葉題詩] (0) | 2025.10.16 |
|---|---|
| 홍비명명[鴻飛冥冥], 홍비준저[鴻飛遵渚], 홍삼[紅衫], 홍상[紅裳], 홍속[紅粟], 홍수[紅袖], 홍시[鴻視] (0) | 2025.10.02 |
| 홍몽[鴻濛], 홍문[鴻門], 홍범구주[洪範九疇], 홍벽천구[弘璧天球], 홍보[鴻寶], 홍부[紅腐] (0) | 2025.09.29 |
| 홍루[紅淚], 홍류적[鴻留迹], 홍릉병[紅綾餠], 홍린약빙[紅鱗躍氷], 홍명익[鴻冥弋], 홍모척[鴻毛擲] (0) | 2025.09.25 |
| 홍련막[紅蓮幕], 홍렬[鴻烈], 홍로[鴻臚], 홍로점설[紅爐點雪], 홍록현[紅綠眩] (0) | 2025.09.17 |
| 홍당[哄堂], 홍도설니[鴻蹈雪泥], 홍동백서[紅東白西], 홍라기성[紅羅記姓], 홍려시[鴻臚寺] (0) | 2025.09.16 |
| 홍곡[鴻鵠], 홍관일[虹貫日], 홍교[虹橋], 홍군[紅裙], 홍노[洪爐], 홍농도하[弘農渡河], 홍니[紅泥] (0) | 2025.09.11 |
| 홍간조오객[虹竿釣鼇客], 홍거절[鴻擧絶], 홍격기적[鴻隙譏翟], 홍경사비[弘慶寺碑] (0) | 2025.09.05 |
| 혼점[混點], 혼정신성[昏定晨省], 혼취[混吹], 혼탈무[渾脫舞], 홀현홀몰[忽縣忽沒] (1) | 2025.09.01 |
| 혼돈개벽[混沌開闢], 혼돈옹[混沌翁], 혼비백산[魂飛魄散], 혼야왕[渾邪王], 혼융[渾融] (4) | 2025.08.2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