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홍루[紅淚] 여인의 눈물을 가리킨다.
❏ 홍류적[鴻留迹] 정처없이 떠도는 인생의 허무한 자취를 말한다. 소식(蘇軾)의 “떠도는 인생살이 무엇과 같다 할꼬, 눈 위에 찍힌 기러기의 발자국. 우연히 발톱 자욱 남겨 놓고는, 날아가면 어찌 다시 동서남북 따지리요.[人生到處知何似 應似飛鴻蹈雪泥 泥上偶然留指爪 鴻飛那復計東西]”라는 시구에서 나온 것이다. <蘇東坡詩集 卷3 和子由澠池懷舊>
❏ 홍류화저[虹流華渚] 세자가 태어남을 상상하는 것이다. 온자승순묘비(溫子昇舜廟碑)에 “무지개 기운 신령을 내려 요씨의 터에 성인이 탄생되었다.”는 말이 있다.
❏ 홍릉담[紅綾餤] 당(唐) 나라 희종(僖宗)이 바야흐로 떡을 먹다가 그때 진사(進士)들이 곡강(曲江)에서 문희연(聞喜宴)을 한다는 말을 듣고 어주(御廚)에 명하여 사람 수효대로 각기 홍릉병담(紅綾餠餤)을 하사했다.
❏ 홍릉병[紅綾餠] 붉은 비단으로 겉을 싼 맛좋은 떡의 일종으로 중국의 왕이나 고관 귀족의 집안에서 주로 먹었다.
❏ 홍린약빙[紅鱗躍氷] 효성이 지극함을 말한다. 진서(晉書) 권49에 “왕상은 효도가 극진하였는데, 어머니가 겨울에 생선을 먹고 싶다고 하므로 강에 가서 옷을 벗고 얼음 깨고 고기를 잡으려 하자, 잉어 두 마리가 얼음 위로 뛰어나왔다.”라고 하였다.
❏ 홍매[洪邁] 송 나라 반양(鄱陽) 사람으로 자는 경로(景盧), 호는 용재(容齋)이다. 경(經)·사(史)·백가(百家)와 의학·복서·천문·산술 등 서적을 두루 읽었으며 효종(孝宗) 때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가 되었다.
❏ 홍명익[鴻冥弋] 벼슬을 우습게 보는 고사(高士)의 비유이다. 법언(法言)에 “가물가물 나는 기러기를 활 쏘는 사람이 어찌 잡으랴.”라고 하였다.
❏ 홍모[鴻毛] 기러기 털로, 아주 가벼운 것을 뜻한다.
❏ 홍모척[鴻毛擲] 기러기털을 집어던졌다는 것은 더없이 귀중한 목숨을 사물 가운데 가장 가볍다는 기러기털처럼 여겨 미련없이 버렸다는 것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련막[紅蓮幕], 홍렬[鴻烈], 홍로[鴻臚], 홍로점설[紅爐點雪], 홍록현[紅綠眩] (0) | 2025.09.17 |
---|---|
홍당[哄堂], 홍도설니[鴻蹈雪泥], 홍동백서[紅東白西], 홍라기성[紅羅記姓], 홍려시[鴻臚寺] (0) | 2025.09.16 |
홍곡[鴻鵠], 홍관일[虹貫日], 홍교[虹橋], 홍군[紅裙], 홍노[洪爐], 홍농도하[弘農渡河], 홍니[紅泥] (0) | 2025.09.11 |
홍간조오객[虹竿釣鼇客], 홍거절[鴻擧絶], 홍격기적[鴻隙譏翟], 홍경사비[弘慶寺碑] (0) | 2025.09.05 |
혼점[混點], 혼정신성[昏定晨省], 혼취[混吹], 혼탈무[渾脫舞], 홀현홀몰[忽縣忽沒] (1) | 2025.09.01 |
혼돈개벽[混沌開闢], 혼돈옹[混沌翁], 혼비백산[魂飛魄散], 혼야왕[渾邪王], 혼융[渾融] (4) | 2025.08.27 |
혹도[惑道], 혹리[酷吏], 혹약[或躍], 혹청혹탁[或淸或濁], 혼가필[婚嫁畢], 혼경위[混涇渭] (3) | 2025.08.22 |
호호[浩浩], 호호악악[灝灝噩噩], 호홀[毫忽], 호화[狐火],호화첨춘[護花添春], 호흡분상로[呼吸分霜露] (4) | 2025.08.18 |
호한부인[呼韓婦人] 호함[頀咸], 호해[胡亥], 호해[壺孩], 호해의[湖海意], 호현[弧懸], 호형염[虎形鹽] (5) | 2025.08.06 |
호탁씨[壺涿氏], 호포[戶布], 호포천[虎跑泉], 호표구관[虎豹九關], 호표부[虎豹符] (5) | 202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