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허주[虛舟] 사공 없이 떠도는 배처럼 의탁할 곳이 없는 처지를 말한다.
❏ 허주[虛舟] 세상일에 대해 담박한 마음으로 대하여서 마음에 두지 않는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외편(外篇) 산목(山木)에 “배를 나란히 하고 황하를 건널 적에 만약 빈 배[虛舟]가 와서 자기 배에 부딪쳤을 경우에는 아무리 속이 좁은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성을 내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한 사람이라도 그 배 위에 있다면 곧 소리쳐서 저리 가라고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 허주[許州] 함양(咸陽)의 고호임이다.
❏ 허중위이[虛中爲离] 이괘(离卦)는 “☲이므로 가운데의 획이 비었다.[離虛中]”라고 한다.
❏ 허지[許支] 허씨는 진(晉) 나라 때 명사(名士)였던 허순(許詢)으로 선비를 가리키고, 지씨는 진 나라 때 고승이던 지도림(支道林)으로 승(僧)을 가리키는데, 이들 둘은 서로 교유하면서 아주 친하게 지내었다. <世說新語 文學>
❏ 허창[許昌] 중국 하남성(河南省) 중부에 있는 도시. 서주(西周)와 춘추(春秋)시대에는 허국(許國)의 땅이었으며, 진(秦)나라 때에는 허현(許縣)이라고 불렀고, 동한(東漢) 말기에는 수도(首都)가 되었다. 1913년에 허창현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1947년 시(市)로 승격하였다. 현재 29개의 민족이 거주한다.
❏ 허창해[許滄海] 창해는 조선 인조(仁祖) 때 사람 허격(許格)의 호. 그는 병자호란에 우리나라가 청 나라에 굴복하자, 유시(遺詩)를 남기고 자살하였다.
❏ 허필[許佖] 호는 연객(煙客), 자는 여정(汝正), 본관은 양천(陽川)으로 진사시에 합격했으나 벼슬보다 학문에 열중하였다. 영조 때 시서화(詩書畫)에 뛰어나 삼절(三絶)로 이름났었다.
❏ 허행원수맹일전[許行願受氓一廛] 맹자(孟子)에 있는 말인데, 등(藤)이라는 나라에서 맹자의 권고를 듣고 정전법(井田法)을 실시하였는데, 신농씨(神農氏)를 말하는 허행(許行)이 등 나라에 와서 토지 한 구역을 얻어서 농사지었다고 하였다.
❏ 허허남화생[栩栩南華生] 남화생은 곧 남화진인(南華眞人)에 추증된 장자(莊子)를 말하는데, 이 말은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옛날 장주(莊周)가 꿈에 나비가 되었는데, 기뻐하며 훨훨 날으는 나비가 분명했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허혼[許渾] 당(唐) 나라 사람. 자는 중회(仲晦)·목주(睦州)·영주(郢州)의 자사(刺吏)를 역임하였고 시(詩)에 능하였으며, 저서에는 정묘집(丁卯集)이 있다.
❏ 허흡[噓吸] 허흡은 마치 사람의 호흡처럼 대기(大氣)가 동탕(動蕩)한다는 뜻으로 바람을 가리키는데, 장자(莊子) 천운(天運)에 “風起北方 …… 孰噓吸是”라는 표현이 있다.
❏ 허희[歔欷] 흐느껴 울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수[獻酬], 헌옥재월[獻玉再刖], 헌원탁록[軒轅涿鹿], 헌지추우[軒墀簉羽], 헌체[獻替] (0) | 2024.11.20 |
---|---|
헌가체부[獻可替否], 헌거[軒擧], 헌근[獻芹], 헌금[軒禽], 헌면[軒冕] (0) | 2024.11.07 |
허유기표[許由棄瓢], 허장성세[虛張聲勢], 허정[虛靜], 허정라면[虛庭羅麪], 허제[虛祭] (1) | 2024.11.01 |
허비경[許飛瓊], 허사김장[許史金張], 허실생백[虛室生白], 허실자요[虛室自曜] (3) | 2024.10.29 |
허곽품인[許郭品人], 허기[虛器], 허령불매[虛靈不昧], 허뢰[虛籟], 허무[虛無] (0) | 2024.10.29 |
향전[香篆], 향진[香塵], 향혼[香魂], 향화사[香火社], 향회입연식[嚮晦入宴息] (0) | 2024.10.22 |
향자손익[向子損益], 향자평[向子平], 향적[香積], 향적반[香積飯], 향적주[香積廚] (0) | 2024.10.22 |
향상[香象], 향안리[香案吏], 향우인[向隅人], 향우지탄[向隅之歎], 향의[香蟻], 향일화[向日花] (0) | 2024.10.07 |
향미[鄕味], 향벽견성[向壁見性], 향사[香社], 향산구로[香山九老], 향산사[香山社] (0) | 2024.10.02 |
행화우[杏花雨], 행화풍[杏花風], 향강[香姜], 향공[鄕貢], 향등[香燈], 향렵전[餉獵錢] (0) | 202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