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탱리[撑犁] 탱리는 몽고(蒙古) 말로서 하늘을 뜻한다.
❏ 탱장문자[撑腸文字] 소식(蘇軾)의 시원전다시(試院煎茶詩)에 “창자와 배를 채울 만한 문자 오천권은 필요없고 항상 충분히 자고 해 높이 올랐을 때 차 한잔만을 바라노라.[不用撑腸拄腹文字五千卷 但願一甌常及睡足日高時]”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탱주빈방대[撑舟頻訪戴] 대(戴)는 진(晋) 나라 대규(戴逵). 자(字)는 안도(安道).
❏ 터홍[攄虹] 무지개를 펴다.
❏ 토각[免角] 육조단경(六祖壇經)에 “세상을 떠나서 보살을 찾는 것이 토끼의 뿔[免角]을 구하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 토각귀모[兎角龜毛] 토끼에 뿔이 나고 거북이가 털이 났다는 뜻으로, 세상에 있을 수 없는 허황된 일을 이른다.
❏ 토간[免肝] 생명을 구하는 좋은 약을 뜻한다. 별주부전(鼈主簿傳)에 “용왕이 별주부에게 ‘과인의 병에는 어떠한 좋은 약도 다 소용없고, 오직 토끼의 생간이 신효하다.’ 하였다.” 한다.
❏ 토공[土貢] 고려 때 진사(進士)를 일컫던 말이다.
❏ 토구[菟裘] 춘추 시대 노(魯) 나라 은공(魯隱公)이 은거했던 곳으로, 산동성(山東省) 사수현(泗水縣)에 있는 지명(地名)인데, 늙어서 벼슬에서 물러나 사는 곳을 가리킨다.
❏ 토굴삼[兎窟三] 토끼가 뜻밖의 환난을 피하기 위하여 세 개의 탈출구를 미리 파 놓는다고 하는데, 여기서는 관로(官路)에 올라 보신책(保身策)에 급급한 것을 말한다. <戰國策 齊策 4>
'♣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만두[土饅頭]~토모삼굴[兎謀三窟]~토목신[土木身]~토반진갱[土飯塵羹]~토봉필[吐鳳筆] (0) | 2022.02.03 |
---|---|
토규[土圭]~토규연맥[兎葵燕麥]~토금인[吐錦茵]~토당[土堂] (0) | 2022.02.03 |
탱리[撑犁]~탱장문자[撑腸文字]~토각귀모[兎角龜毛]~토구[菟裘]~토굴삼[兎窟三] (0) | 2021.12.20 |
택풍당[澤風堂]~택풍대과[澤風大過]~택풍대상[澤風大象]~택학주이[澤壑舟移] (0) | 2021.12.20 |
택상[宅相]~택상양구[澤上羊裘]~택서거[擇壻車]~택우천형[澤虞川衡] (0) | 2021.12.20 |
택반[凙畔]~택반객[澤畔客]~택반고[澤畔枯]~택반음[澤畔吟]~택복견[澤腹堅] (0) | 2021.11.11 |
택거인[澤車人]~택국[澤國]~택궁[澤宮]~택량[澤梁]~택문구[澤門謳] (0) | 2021.11.11 |
태호[太昊]~태호[太皥]~태호전[太湖田]~태화[太和]~태화[泰華] (0) | 2021.11.11 |
태학[太學]~태항거[太行車]~태항지장검[太行之長劍]~태행부재산[太行不在山]~태현경[太玄經] (0) | 2021.10.21 |
태초[泰初]~태초의주[泰初倚柱]~태충[太冲]~태태[棣棣]~태평어람[太平御覽]~태평연월[太平烟月] (0) | 2021.09.29 |
태지[苔紙]~태진[太眞]~태창[泰昌]~태창제미[太倉稊米]~태청가[大淸家] (0) | 2021.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