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홍준저[鴻遵渚] 사명(使命)을 마치고 조정으로 돌아감을 뜻한다. 주공(周公)이 일찍이 동쪽 지방을 다스리러 가 있을 적에 그 곳 백성들이 주공을 만나보게 된 것을 기뻐하면서 한편으로는 기러기가 물가를 따르듯이 주공도 의당 조정으로 돌아가게 될 것을 서운하게 생각하여 노래하기를 “기러기는 날아서 물가를 따르나니 공이 돌아갈 곳이 없으랴 너에게서는 이틀 밤만 묵을 것이다.[鴻飛遵渚 公無所歸 於女信處]”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詩經 豳風 九罭>
❏ 홍중실[洪仲實] 중실은 홍세영(洪世英)의 자이다.
❏ 홍진라착편[紅塵懶着鞭] 벼슬을 재촉하는 조정의 소명(召命)이 정말 지겹다는 말이다.
❏ 홍질발[紅叱撥] 홍질발은 당 현종(唐玄宗) 때 대완국(大宛國)에서 공물(貢物)로 진상한 천하 명마(名馬)의 이름이다.
❏ 홍추[鴻樞] 추밀원(樞密院)을 말한 것. 임금을 가까이 모시는 요직을 말한다. 추신(樞臣). 홍(鴻)은 아칭(雅稱).
❏ 홍탕[弘湯] 공손홍과 장탕.
❏ 홍평보[洪平甫]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홍간(洪侃). 평보는 자이고, 첨의사인(僉議舍人)으로 있다가 동래 현령(縣令)으로 폄(貶)되어 왔으며 재임중 세상을 떠났다.
❏ 홍포[紅袍] 조정 고위 관원이 입는 붉은색 조복(朝服)을 말한다.
❏ 홍한[紅汗] 유사(遺事)에 “귀비가 매년 여름철에는 얇은 비단옷을 입고 시녀들을 시켜 부채질을 하여도 그 열(熱)이 해소되지 않고 땀이 나는데 붉고 매끄러운 가운데 향내가 많아, 혹 수건에 씻으면 그 빛깔이 홍도화(紅桃花)와 같았다.”라고 하였다. 또 현종유록(玄宗遺錄)에 “귀비가 마외역(馬嵬驛)에서 목매어 죽었을 때 고역사(高力士)가 목맨 비단을 가져왔는데 눈물 자국이 다 담혈색(淡血色)과 같았다.”라고 하였다.
❏ 홍홍[泓泓] 물이 깊은 모양, 물이 맑은 모양.
❏ 홍화[弘化] 홍화는 서경(書經) 주관(周官)에 “소사(少師)·소부(少傅)·소보(少保)는 삼고(三孤)이니, 삼공의 다음 관원으로서 교화를 넓혀야 한다.[貳公弘化]”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즉 삼공의 다음 벼슬인 찬성(贊成)에 해당하는 말이다.
❏ 홍화보[洪和輔] 홍화보는 자는 경협(景協)인데 영조 때 파주 목사(坡州牧使)·동부승지·황해도 병마절도사를 지냈다.
❏ 홍희[洪熙] 명 나라 인종(仁宗)의 연호로, 1년 만에 인종이 죽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홍우[紅雨], 홍우점[鴻羽漸], 홍운[紅雲], 홍운전각[紅雲殿閣], 홍유효법곤[鴻猷效法坤] (0) | 2025.10.23 |
|---|---|
| 홍아[紅牙], 홍애견박[洪崖肩拍], 홍애자[洪厓子], 홍약[紅藥], 홍연[弘演], 홍엽제시[紅葉題詩] (0) | 2025.10.16 |
| 홍비명명[鴻飛冥冥], 홍비준저[鴻飛遵渚], 홍삼[紅衫], 홍상[紅裳], 홍속[紅粟], 홍수[紅袖], 홍시[鴻視] (0) | 2025.10.02 |
| 홍몽[鴻濛], 홍문[鴻門], 홍범구주[洪範九疇], 홍벽천구[弘璧天球], 홍보[鴻寶], 홍부[紅腐] (0) | 2025.09.29 |
| 홍루[紅淚], 홍류적[鴻留迹], 홍릉병[紅綾餠], 홍린약빙[紅鱗躍氷], 홍명익[鴻冥弋], 홍모척[鴻毛擲] (0) | 2025.09.25 |
| 홍련막[紅蓮幕], 홍렬[鴻烈], 홍로[鴻臚], 홍로점설[紅爐點雪], 홍록현[紅綠眩] (0) | 2025.09.17 |
| 홍당[哄堂], 홍도설니[鴻蹈雪泥], 홍동백서[紅東白西], 홍라기성[紅羅記姓], 홍려시[鴻臚寺] (0) | 2025.09.16 |
| 홍곡[鴻鵠], 홍관일[虹貫日], 홍교[虹橋], 홍군[紅裙], 홍노[洪爐], 홍농도하[弘農渡河], 홍니[紅泥] (0) | 2025.09.11 |
| 홍간조오객[虹竿釣鼇客], 홍거절[鴻擧絶], 홍격기적[鴻隙譏翟], 홍경사비[弘慶寺碑] (0) | 2025.09.05 |
| 혼점[混點], 혼정신성[昏定晨省], 혼취[混吹], 혼탈무[渾脫舞], 홀현홀몰[忽縣忽沒] (1) | 2025.09.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