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홍아[紅牙] 붉은 향나무로 만든 악기로, 악곡의 장단을 조절하기 위해 치는 널판지이다.
❏ 홍안선왕[鴻鴈宣王] 시전(詩傳)에 있는 홍안(鴻雁)장은 주나라 선왕(宣王)이 국가를 중흥시킨 업적을 찬양한 시이다.
❏ 홍안소년[紅顔少年] 나이가 젊고 얼굴이 곱게 생긴 남자를 이른다.
❏ 홍안택중음[鴻雁澤中吟] 유민(流民)이 배고파 우는 참상을 기러기 소리에 비긴 것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홍안(鴻雁)에 “기러기 날아와 못 가운데 모였다……기러기 날아와 슬피 울어대네……”라고 하였는데 집전(集傳)에는 “유민이 기러기의 슬피 우는 모습을 자신의 처지에 비겨서 이 시를 만든 것이다.”라고 하였다.
❏ 홍애[洪崖] 서산(西山)에 있는 큰 절벽을 말하는데, 여기에 은거했던 상고(上古)의 선인(仙人) 홍애 선생(洪崖先生)이 일컫기도 한다.
❏ 홍애견박[洪崖肩拍] 홍애는 옛날 신선(神仙)의 이름인데, 문선(文選) 곽박유선시(郭璞遊仙詩)에 “왼손으로 부구(浮丘)의 소매를 잡고 오른손으로 홍애(洪崖)의 어깨를 친다.”라고 하였다.
❏ 홍애자[洪厓子] 보통 홍애 선생(洪厓先生)으로 불리는 상고(上古)의 선인(仙人)이다. 위숙경(衛叔卿)이 몇 사람과 장기를 두었는데, 그 아들 도세(度世)가 “아까 장기를 둔 분은 누구입니까?”라고 묻자, 바로 홍애 선생이었다고 대답한 고사가 있다. <神仙傳 二 衛叔卿>
❏ 홍애자[洪厓子] 홍애선생(洪崖先生)이라고도 하는 상고의 선인(仙人)을 가리킨다.
❏ 홍약[紅藥] 사조(謝眺)가 중서성(中書省)에서 지은 중서성입직시(中書省入直詩)에 “붉은 작약꽃은 뜰에서 펄럭인다.[紅藥當階翻]”는 구(句)가 있다. 당 나라 때 중서성이 궁문의 서쪽에 있었다.
❏ 홍연[弘演] 홍연은 춘추 시대 위 의공(衛懿公)의 충신인데, 그가 타국에 사신 간 동안에 적인(狄人)이 쳐들어와서 위 의공을 죽이어 그의 살을 다 먹어 버리고 간(肝)만을 남겨 놓았으므로, 홍연이 돌아와서는 의공의 간을 향해 복명을 한 다음, 자기의 배를 갈라 뱃속의 것들을 모두 꺼내고 임금의 간을 자기 뱃속에 넣고 죽었던 고사가 있다. <呂氏春秋 卷十一 忠廉>
❏ 홍연대소[哄然大笑] 입을 크게 벌리고 떠들썩하게 껄껄 웃는 큰 웃음을 이른다.
❏ 홍엽제시[紅葉題詩] 당 희종(唐僖宗) 때 우우(于祐)가 어구(御溝)에서 시(詩)가 적힌 붉은 나뭇잎 하나를 주웠는데, 그 시에 “흐르는 물은 어이 그리 급한고, 깊은 궁중은 종일토록 한가롭네. 다정히도 붉은 잎새 작별하나니, 인간이 있는 곳으로 잘 가거라.[流水何太急 深官盡日閒 殷勤謝紅葉 好去到人間]”라고 하였으므로, 우우 역시 붉은 나뭇잎에다 “일찍이 나뭇잎에 깊은 원망 쓴 것을 보았나니, 나뭇잎에 시 써서 누구에게 부쳤던고?[曾聞葉上題紅怨 葉上題詩寄阿誰]”라는 시를 써서 다시 어구에 흘려 보낸 결과, 이 시는 당시 궁녀(宮女)였던 한 부인(韓夫人)이 주웠다. 그런데 뒤에 희종이 궁녀들을 풀어 시집을 보내게 되자, 공교롭게 우우와 한 부인이 서로 결혼을 하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비명명[鴻飛冥冥], 홍비준저[鴻飛遵渚], 홍삼[紅衫], 홍상[紅裳], 홍속[紅粟], 홍수[紅袖], 홍시[鴻視] (0) | 2025.10.02 |
---|---|
홍몽[鴻濛], 홍문[鴻門], 홍범구주[洪範九疇], 홍벽천구[弘璧天球], 홍보[鴻寶], 홍부[紅腐] (0) | 2025.09.29 |
홍루[紅淚], 홍류적[鴻留迹], 홍릉병[紅綾餠], 홍린약빙[紅鱗躍氷], 홍명익[鴻冥弋], 홍모척[鴻毛擲] (0) | 2025.09.25 |
홍련막[紅蓮幕], 홍렬[鴻烈], 홍로[鴻臚], 홍로점설[紅爐點雪], 홍록현[紅綠眩] (0) | 2025.09.17 |
홍당[哄堂], 홍도설니[鴻蹈雪泥], 홍동백서[紅東白西], 홍라기성[紅羅記姓], 홍려시[鴻臚寺] (0) | 2025.09.16 |
홍곡[鴻鵠], 홍관일[虹貫日], 홍교[虹橋], 홍군[紅裙], 홍노[洪爐], 홍농도하[弘農渡河], 홍니[紅泥] (0) | 2025.09.11 |
홍간조오객[虹竿釣鼇客], 홍거절[鴻擧絶], 홍격기적[鴻隙譏翟], 홍경사비[弘慶寺碑] (0) | 2025.09.05 |
혼점[混點], 혼정신성[昏定晨省], 혼취[混吹], 혼탈무[渾脫舞], 홀현홀몰[忽縣忽沒] (1) | 2025.09.01 |
혼돈개벽[混沌開闢], 혼돈옹[混沌翁], 혼비백산[魂飛魄散], 혼야왕[渾邪王], 혼융[渾融] (4) | 2025.08.27 |
혹도[惑道], 혹리[酷吏], 혹약[或躍], 혹청혹탁[或淸或濁], 혼가필[婚嫁畢], 혼경위[混涇渭] (3) | 202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