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혜생[嵇生] 삼국시대 위(魏) 나라 초군(譙郡) 사람인 혜강(嵆康)으로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이다. 기풍이 출중하고 박식하였으며 노장(老莊)을 숭상하였다.

혜생재위루[嵇生才爲累]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하나인 진(晉) 나라 혜강(嵇康)이 악인을 원수처럼 미워하다가 마침내는 종회(鍾會)의 참소를 받고 사마소(司馬昭)에게 살해당하였는데, 그가 죽기 전에 감옥에 갇혀 있을 적에, 옛날 선인(仙人) 손등(孫登)이 “그대는 재주는 많으나 식견이 부족하여 오늘날 세상에서 면하기가 어려울 것이니, 부디 많은 것을 구하려 하지 말라.[今子才多識寡 難乎免于今之世矣 子無多求]”고 한 충고를 떠올리고는 “옛날에 부끄럽게 충고를 받았나니, 지금 손등을 볼 면목이 없구나.[昔慙下惠 今愧孫登]”라는 내용의 시 유분(幽憤)을 지어 자책(自責)하였던 고사가 전한다. <晉書 卷49 嵇康傳·世說新語 棲逸>

혜성하[蹊成下] 문하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것을 비유한 말. 한서(漢書) 이장군전(李將軍傳)에 “도리(桃李) 밑에 오솔길이 생겼다.”라고 하였는데, 그 주에 “도리는 본래 말을 못하지만 꽃과 열매가 사람들의 마음을 감동시키기 때문에, 사람들이 저마다 도리 밑으로 가 자연히 오솔길이 생기게 된다. 이는 이 장군이 말을 안 해도 사람들이 그에게 감화된 것이 있어 믿고 추종한 것을 비유한 것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혜소[嵇紹] 몽구 중(蒙求中) 혜소불고(嵇紹不孤)에 “진(晉) 나라 혜소의 자(字)는 연조(延祖)이다. 그의 아버지 강(康)이 산도(山濤)와 친하였는데, 강이 사형을 당할 무렵에 아들 소에게 ‘산도가 생존해 있으니 너는 외롭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 후에 과연 산도가 소를 천거하여 비서승(祕書丞)이 되었다.”라고 하였다.

혜숙야[嵇叔夜] 혜숙야는 진(晉) 나라 때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혜강(嵇康)을 말한다. 숙야는 그의 자. 혜강은 방외(方外)의 선비로서 세속을 초탈하여 산택(山澤)에 노닐면서 약(藥)이나 캐며 지냈는데, 갑자기 억울한 누명을 입고 동시(東市)에서 처형되었다. <晉書 卷四十九>

혜시오거[惠施五車] 장자(莊子) 천하(天下)에 “혜시(惠施)는 방술이 많으니 그 책도 다섯 수레가 된다.”는 말이 있다.

혜심환질[蕙心紈質] 마음이 순결하고 성정(性情)이 고아(高雅)한 것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