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화각[畫角] 옛날 군중(軍中)에서 사용했던 뿔피리이다.
❏ 화간[禾竿] 정월 대보름날 풍년을 기원하는 뜻으로 수수깡으로 벼이삭 조이삭의 모양을 만들어 다는 것이다.
❏ 화간[花間] 화간은 후촉(後蜀)의 조숭조(趙崇祚)가 편(編)한 화간집(花間集)의 준말로, 내용은 곧 당(唐) 나라 말기 여러 명가(名家)들의 사(詞)인데, 진진손(陳振孫)은 이를 전사(塡詞)의 시조(始祖)라고 하였다.
❏ 화개[華蓋] 화개는 임금이나 고관이 사용하는 호화로운 일산이나 귀족이 타는 수레의 덮개를 말하는데, 흔히 존귀한 사람의 행차를 말할 때 인용된다.
❏ 화개성[華蓋星] 대제성(大帝星) 위의 아홉 개의 별로 마치 천제(天帝)의 자리를 덮어 주는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晉書 天文志上>
❏ 화견[禾絹] 황제를 가리킨다. 남사(南史) 송기 하(宋紀下) 명제(明帝)에 “중서사인(中書舍人) 호모호(胡母顥)가 전권(專權)을 행하여 아뢰면 허락받지 못하는 것이 없었다. 이에 당시 사람들이 이르기를, ‘화견이 눈을 가리고 승낙을 하니 호모(胡母)가 큰 주머니를 벌리고 있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는데, 화견은 상(上)을 가리키는 것이다.
❏ 화경[花卿] 당(唐)의 맹장(猛將) 화경정(花敬定)을 이른다.
❏ 화경[華鯨] 화는 종(鐘), 경은 동목(橦木)으로, 곧 종과 장대를 말한다.
❏ 화계두로장[花溪杜老莊] 사천성(四川省) 성도시(成都市) 서쪽 교외의 금강(錦江) 지류인 완화계(浣花溪)에 두보(杜甫)의 완화초당(浣花草堂)이 있었다.
❏ 화곤[華袞] 옛날 왕공(王公) 귀족(貴族)이 입던 화려한 의복인데 영총(榮寵)을 말한다. 서언고사장예류(書言故事獎譽類)에 “남이 포창해 줌을 사례하니 영광이 화곤보다 낫다.”는 말이 있다. 전하여 화곤은 제왕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 화곤부월정노사[華袞鈇鉞正魯史] 화곤은 고관이 입는 화려한 예복(禮服)이고, 부월(鈇鉞)은 형벌에 쓰는 작두와 도끼로, 역사서에서 포폄(褒貶)을 가해 기리고 내치는 것을 말하며, 노사(魯史)는 노 나라의 역사로 춘추(春秋)를 말한다. 공자가 춘추(春秋)를 저술하면서 포폄의 뜻을 붙여서 저술하였다.
❏ 화공[畫栱] 건물의 대들보를 받치는 기둥 위에 있는 방형(方形)의 나무인 두공에 단청(丹靑)을 베푼 것을 말한다.
❏ 화공[化工] 화공은 천공(天工) 즉 조물(造物)과 같은 기막힌 기예의 소유자를 뜻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홍준저[鴻遵渚], 홍질발[紅叱撥], 홍추[鴻樞], 홍포[紅袍],홍한[紅汗], 홍화[弘化] (0) | 2025.11.05 |
|---|---|
| 홍우[紅雨], 홍우점[鴻羽漸], 홍운[紅雲], 홍운전각[紅雲殿閣], 홍유효법곤[鴻猷效法坤] (0) | 2025.10.23 |
| 홍아[紅牙], 홍애견박[洪崖肩拍], 홍애자[洪厓子], 홍약[紅藥], 홍연[弘演], 홍엽제시[紅葉題詩] (0) | 2025.10.16 |
| 홍비명명[鴻飛冥冥], 홍비준저[鴻飛遵渚], 홍삼[紅衫], 홍상[紅裳], 홍속[紅粟], 홍수[紅袖], 홍시[鴻視] (0) | 2025.10.02 |
| 홍몽[鴻濛], 홍문[鴻門], 홍범구주[洪範九疇], 홍벽천구[弘璧天球], 홍보[鴻寶], 홍부[紅腐] (0) | 2025.09.29 |
| 홍루[紅淚], 홍류적[鴻留迹], 홍릉병[紅綾餠], 홍린약빙[紅鱗躍氷], 홍명익[鴻冥弋], 홍모척[鴻毛擲] (0) | 2025.09.25 |
| 홍련막[紅蓮幕], 홍렬[鴻烈], 홍로[鴻臚], 홍로점설[紅爐點雪], 홍록현[紅綠眩] (0) | 2025.09.17 |
| 홍당[哄堂], 홍도설니[鴻蹈雪泥], 홍동백서[紅東白西], 홍라기성[紅羅記姓], 홍려시[鴻臚寺] (0) | 2025.09.16 |
| 홍곡[鴻鵠], 홍관일[虹貫日], 홍교[虹橋], 홍군[紅裙], 홍노[洪爐], 홍농도하[弘農渡河], 홍니[紅泥] (0) | 2025.09.11 |
| 홍간조오객[虹竿釣鼇客], 홍거절[鴻擧絶], 홍격기적[鴻隙譏翟], 홍경사비[弘慶寺碑] (0) | 2025.09.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