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행[幸] 바라다, 희망하다.
❏ 행[行] 행은 시체(詩體)의 하나이다.
❏ 행가[行歌] 걸어가면서 노래하다.
❏ 행가고영우[行歌叩寗牛] 춘추 시대 제(齊) 나라의 영척(甯戚)이 쇠뿔을 두드리며 노래하여 세상에 쓰이기를 요구했는데, 과연 제 환공(齊桓公)이 그 노래 소리를 듣고 그를 등용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說苑 尊賢>
❏ 행각[行脚] 여기 저기 돌아다니며 수행함을 이른다.
❏ 행단[杏壇] 단(壇)의 이름. 공자가 제자들을 가르치던 유지(遺址)로 산동성(山東省) 곡부현(曲阜縣)의 성묘(聖廟) 앞에 있다. 장자(莊子) 어부(漁父)에 “공자는 행단 위에 앉고 제자들은 그 곁에서 글을 읽었다.[孔子休坐乎杏壇之上 弟子讀書]”라고 하였다.
❏ 행단사자[杏壇四子] 행단은 살구나무가 있는 단으로 공자(孔子)가 일찍이 강학한 곳인데, 지금의 산동성(山東省) 곡부현(曲阜縣)에 있는 공자의 사당인 대성전(大成殿) 앞이라 한다. 네 분은 공자의 제자인 자로(子路)·증점(曾點)·염유(冉有)·공서화(公西華)를 이르는바, 공자가 일찍이 이들에게 각자의 포부와 경륜을 물은 적이 있다. <論語 先進>
❏ 행당맥락[杏餳麥酪] 당(唐) 나라 때 음식의 한 가지이다.
❏ 행대[行臺] 서장관(書狀官)의 별칭이다.
❏ 행동거지[行動擧止] 몸을 움직이는 모든 짓.
❏ 행등[行縢] 베의 천으로 퇴육(腿肉)을 감는 각반(脚盤)을 말한다.
❏ 행등[行燈] 속에 등잔을 넣고 손으로 들고 다니게 된 등롱(燈籠)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화우[杏花雨], 행화풍[杏花風], 향강[香姜], 향공[鄕貢], 향등[香燈], 향렵전[餉獵錢] (0) | 2024.09.11 |
---|---|
행장[行藏], 행주[行酒], 행지부창천[行止付蒼天], 행천만국병[行穿萬國兵], 행춘[行春] (1) | 2024.08.29 |
행약[行藥], 행운유수[行雲流水], 행원[杏園], 행음택반[行吟澤畔], 행인안검간[行人按劒看] (0) | 2024.08.28 |
행마[行馬], 행불유경[行不由徑], 행상대경[行常帶經], 행시주육[行尸走肉], 행신가호[行身賈胡] (0) | 2024.08.27 |
행락수급춘[行樂須及春], 행로[行露], 행로난[行路難], 행리[行李], 행림[杏林] (0) | 2024.08.23 |
해패[解佩], 해포[解袍], 해하[解夏], 해하[垓下], 해하음릉도[垓下陰陵道], 해학비[海鶴悲] (0) | 2024.08.21 |
해주[海籌], 해촉사[獬觸邪], 해추[海鰌], 해치관[獬豸冠], 해타명주[咳唾明珠], 해탑[解榻] (0) | 2024.08.20 |
해정오두[解酲五斗], 해제천규[海帝穿竅], 해조음[海潮音], 해조함석[海鳥銜石] (0) | 2024.08.19 |
해원[解元], 해월[海月], 해위[奚爲], 해율[嶰律], 해의반박[解衣盤礡], 해인[海印] (0) | 2024.08.16 |
해오[蟹螯], 해옥첨주[海屋添籌], 해온풍[解慍風], 해우[薤盂], 해우[解雨], 해우음나조[廨宇蔭蘿蔦] (0) | 202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