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해수[亥首] 옛날에 해(亥)의 고자(古字)를 파자(破字)하여 “이(二)의 머리에 육(六)의 몸이다.[二首六身]”라고 한 설(說)이 있다.
❏ 해수[薤水] 후한(後漢) 방삼(龐參)이 한양 태수(漢陽太守)가 되었을 때, 고사(高士)인 임당(任棠)이 말없이 염교[薤] 한 뿌리와 물[水] 한 잔을 내놓았는데, 이것을 보고는 “염교 뿌리를 뽑듯 위세를 부리는 토호(土豪)를 제거하고, 물처럼 나 자신을 맑게 하라는 뜻이다.”라고 깨달아 선정을 베풀었다는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龐參列傳>
❏ 해수불파[海水不波] 주(周)나라 성왕(成王) 때에 월상씨(越裳氏; 국명)가 먼 곳에서 와서 흰 꿩을 바치며 “하늘에 모진 바람과 궂은 비가 없고, 바다에 험한 파도가 없은 지가 3년이나 되니 아마도 중국에 성인(聖人)이 있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 해숭도위[海嵩都尉] 선조(宣祖)의 딸 정혜옹주(貞惠翁主)와 결혼한 윤신지(尹新之)의 봉호(封號)이다.
❏ 해시[海市] 해시는 바람이 없는 조용한 날에 대기(大氣)의 밀도(密度)와 광선(光線)의 반사(反射)와의 관계로 인하여 멀리 해변(海邊)이나 사막(沙漠)의 상공에 성곽(城郭)이나 누대(樓臺) 등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신기루(蜃氣樓).
❏ 해시지와[亥豕之訛] 서적을 베끼거나 책을 간행할 때 비슷한 글자는 잘못 쓰기 쉽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 해신독각[獬神獨角] 해(獬)라는 짐승은 실제로 있는 것이 아니요 상상의 동물인데, 사람의 마음속을 잘 알아본다고 한다. 예전부터 광화문 앞에 있는 해태라는 것이 그것이니, 그 궁문으로 드나드는 백관들을 충신인지 간신인지를 알아본다는 의미로 그렇게 궁문 앞에 세운 것이다.
❏ 해심려불측[海深蠡不測] 표주박으로 바닷물을 헤아릴 수 없듯이, 천박한 식견으로 깊은 경지를 헤아릴 수 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주[海籌], 해촉사[獬觸邪], 해추[海鰌], 해치관[獬豸冠], 해타명주[咳唾明珠], 해탑[解榻] (0) | 2024.08.20 |
---|---|
해정오두[解酲五斗], 해제천규[海帝穿竅], 해조음[海潮音], 해조함석[海鳥銜石] (0) | 2024.08.19 |
해원[解元], 해월[海月], 해위[奚爲], 해율[嶰律], 해의반박[解衣盤礡], 해인[海印] (0) | 2024.08.16 |
해오[蟹螯], 해옥첨주[海屋添籌], 해온풍[解慍風], 해우[薤盂], 해우[解雨], 해우음나조[廨宇蔭蘿蔦] (0) | 2024.08.02 |
해아삼[孩兒蔘], 해안어린[蟹眼魚鱗], 해안하청[海晏河淸], 해약[海若], 해어화[解語花], 해엽점[薤葉簟] (1) | 2024.08.01 |
해분[解紛], 해사[薤詞], 해산도솔[海山兜率], 해삼고[海三枯], 해상유의[海上留衣], 해서[楷書], 해성[諧聲] (0) | 2024.07.18 |
해로가[薤露歌], 해로동혈[偕老同穴], 해만만[海漫漫], 해망은조[解網殷祖], 해망축[解網祝] (0) | 2024.07.01 |
해낭[奚囊], 해노습득[奚奴拾得], 해당시[海棠詩], 해라[海螺], 해란[陔蘭], 해랑[奚囊] (0) | 2024.06.28 |
해가[薤歌], 해갑당[蟹甲鐺], 해객조[解客嘲], 해곡[嶰谷], 해구맹[海鷗盟], 해궁[海宮], 해기[薤鄿] (0) | 2024.06.27 |
항장검무[項莊劒舞], 항주소일[杭州消日], 항풍항우[恒風恒雨], 항하사[恒河沙], 항해금경[沆瀣金莖], 항행[抗行] (0) | 202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