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포박[抱朴] 호가 포박자(抱朴子)인 진(晉) 나라 때 신선으로 나부산(羅浮山)에 은거했던 갈홍(葛洪)을 가리킨다.
❏ 포박옹[抱朴翁] 동진(東晉)의 포박자 갈홍(葛洪)처럼 장생(長生)의 선술(仙術)을 닦는 사람을 말한다. 원래 노자(老子)의 “소박함을 지니고 사욕을 줄인다.[見素抱朴 少私寡欲]”라는 말에서 나왔다.
❏ 포박자[抱朴子] 갈홍(葛洪)의 호. 진대(晉代) 동진의 도사. 강소(江蘇) 사람. 자는 치천(雉川), 도적을 평정한 공으로 관내후(關內侯)에 봉해졌으나 신선의 도양술(導養術)을 좋아하여 교지(交趾)에 단사(丹沙)가 난단 말을 듣고, 그 영(令)이 되기를 자원하여 나부산(羅浮山)에 들어 연단(煉丹)하였다.
❏ 포박제[抱璞啼] 알아주는 사람이 없는 것을 한탄하는 뜻이다.
❏ 포백숙속[布帛菽粟] 포백은 삼베이고 숙속은 곡물이다. 비단과 고기에 비하면 수수하지만 일상생활의 필수품이므로 흔히 평범해도 극히 필요한 것에 비유한다. 송사(宋史) 권427 정신전(程頣傳)에 “그 말씀의 아름다움이 포백과 숙속 같았다.[其言之旨 若布帛菽粟然]”라고 하였다.
❏ 포벽[蒲璧] 포벽은 부들꽃 무늬를 새긴 옥그릇으로 주(周)나라 때 제후국의 등급을 구분하는 여섯 가지 옥그릇 가운데 하나이다.
❏ 포복절도[抱腹絶倒] 배를 안고 기절하여 넘어짐.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로 몹시 우스움을 나타낸 말이다.
❏ 포비[飽飛] 배고프면 사람을 따르고 배부르면 날아가 버리는 매처럼, 실컷 자기 욕심을 채우고는 떠나가 버린 것을 말한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청해 지방 지금 누가 얻을까, 서융은 실로 배부르면 날아가 버리나니.[靑海今誰得 西戎實飽飛]”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2 警急>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오호[哺烏呼], 포옹[逋翁], 포옹고[抱甕苦], 포옹장인[抱甕丈人], 포옹한음[抱甕漢陰] (0) | 2023.03.30 |
---|---|
포양[蒲楊], 포어사[鮑魚肆], 포어석[鮑魚石], 포연[酺宴], 포엽[蒲葉] (0) | 2023.03.30 |
포손[抱孫], 포숙[鮑叔], 포숙아[鮑叔牙], 포식난의[飽食暖衣], 포신구화[抱薪救火] (0) | 2023.03.30 |
포새[蒲塞], 포석[蒲席], 포석정[鮑石亭], 포선[逋仙], 포선망작규[捕蟬忘雀窺] (0) | 2023.03.30 |
포사[鮑謝], 포사[褒姒], 포사곡[褒斜谷], 포사자설[捕蛇者說], 포산[逋散], 포상[苞桑] (0) | 2023.03.30 |
포말청혜[布襪靑鞋], 포망[捕亡], 포모[包茅], 포무어[包無魚] (0) | 2023.03.28 |
포뢰[蒲牢], 포루[布縷], 포류망추[蒲柳望秋], 포류지질[蒲柳之質], 포륜[蒲輪] (0) | 2023.03.28 |
포단[蒲團], 포도[逋逃], 포독수[飽毒手], 포라[蒲蠃], 포락지형[炮烙之刑] (0) | 2023.03.28 |
포과탄[匏瓜嘆], 포관격탁[抱關擊柝], 포금작랄[鋪金作埒], 포기[包杞] (0) | 2023.03.28 |
포객[逋客], 포견[袍繭], 포계[匏繫], 포고뇌문[布鼓雷門], 포곤[褒袞]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