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폐양희[吠暘曦] 유종원(柳宗元)의 ‘답위중립논사도서(答韋中立論師道書)’에 “내가 과거에 듣기를 촉 땅 남쪽은 항상 비가 오고 해 뜨는 날이 적기 때문에 해가 뜨기만 하면 개가 짖는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 폐요[吠堯] 도척(盜跖)의 개가 요 임금을 보고 짖는다는 뜻으로 오랑캐가 예의국가를 침략하는 데 비유한 말이다.
❏ 폐우[蔽牛] 아주 큰 나무를 말한다.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에 “장석(匠石)이 제(齊) 나라로 가다가 곡원(曲轅)에 이르러서 토신묘(土神廟)에 있는 참나무를 보았는데, 그 그늘은 수천 마리의 소를 뒤덮을 만하였고, 그 둘레는 백 아름이나 되었다.”라고 하였다.
❏ 폐월[閉月] 초선(貂蟬)은 삼국지의 초기에 나오는 인물로 한나라 대신 왕윤(王允) 의 양녀인데, 용모가 명월 같았을 뿐 아니라 노래와 춤에 능했다. 어느 날 저녁에 화원에서 달을 보고 있을 때에 구름 한 조각이 달을 가리웠다. 왕윤이 말하기를 “달도 내 딸에게는 비할 수가 없구나. 달이 부끄러워 구름 뒤로 숨었다.”고 하였다. 이때부터 초선은 폐월(閉月) 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초선은 왕윤의 뜻을 따라 간신 동탁과 여포를 이간질시키며 동탁을 죽게 만든 후 의로운 목숨을 거둔다.
❏ 폐월수화[閉月羞花] 달이 가려지고 꽃이 부끄러워함을 말한다.
❏ 폐유리[吠琉璃] 연감류함(淵鑑類函)에 “수미산(須彌山)에 폐유리가 있는데 불도 능히 태우지 못하고 쇠도 부수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 폐육아[廢蓼莪] 진(晉) 나라 왕부(王裒)가 시경(詩經)을 가르칠 때 “슬프고 슬프다 우리 부모여, 나를 낳아 기르느라 얼마나 애쓰셨나.[哀哀父母 生我劬勞]”라는 구절이 나오는 육아편(蓼莪篇)을 대할 적마다 통곡하곤 하였으므로 학생들이 나중에는 그 대목을 생략하였다는 고사가 전한다. <晉書 卷88 王裒傳>
❏ 폐읍[弊邑] 폐읍은 노(魯) 나라를 가리킨다.
❏ 폐이후이[斃而後已] 쓰러져 죽은 뒤에야 그만둠.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뢰[蒲牢], 포루[布縷], 포류망추[蒲柳望秋], 포류지질[蒲柳之質], 포륜[蒲輪] (0) | 2023.03.28 |
---|---|
포단[蒲團], 포도[逋逃], 포독수[飽毒手], 포라[蒲蠃], 포락지형[炮烙之刑] (0) | 2023.03.28 |
포과탄[匏瓜嘆], 포관격탁[抱關擊柝], 포금작랄[鋪金作埒], 포기[包杞] (0) | 2023.03.28 |
포객[逋客], 포견[袍繭], 포계[匏繫], 포고뇌문[布鼓雷門], 포곤[褒袞] (0) | 2023.03.28 |
폐장어참[蔽鄣於讒], 폐추향금[敝箒享金], 폐포파립[蔽袍破笠], 폐합중개[閉閤重開], 폐호불규원[閉戶不窺園] (0) | 2023.03.26 |
폐고[吠高], 폐관[閉關], 폐구[弊裘], 폐부[肺腑], 폐생진[肺生塵], 폐석[肺石], 폐순[陛楯] (0) | 2023.03.26 |
평천[平泉], 평천장[平泉莊], 평포잔각[平鋪剗却], 평향정[萍鄕政], 평협[平脅] (0) | 2023.03.26 |
평자부[平子賦], 평제왕후[平帝王后], 평중엽[平仲葉], 평지풍파[平地風波], 평진관[平津官] (0) | 2023.03.22 |
평악관[平樂觀], 평안화[平安火], 평원독우[平原督郵], 평원약[平原約] (0) | 2023.03.22 |
평사낙안[平沙落雁], 평생일반[平生一飯], 평수[萍水], 평실[萍實]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