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평악관[平樂觀] 한대(漢代) 각저희(角抵戱)의 별칭으로 각저(씨름)를 보는 장소를 말하기도 한다.
❏ 평안화[平安火] 당 나라 때 30리(里)마다 후(堠)를 설치하고 변방에 아무 탈이 없을 때 올리게 했던 봉화(烽火)를 말한다. 봉화는 평상시에 한 번, 적이 출현하면 두 번, 국경에 접근하면 세 번, 국경을 침범하면 네 번, 접전(接戰)하면 다섯 번을 올렸다.
❏ 평양부토[平陽負土] 당 나라 태종(太宗)이 고구려를 정벌하다가 안시성(安市城) 전투에서 패한 뒤 철수하면서 평양교(平陽橋)를 지날 적에 진창에 길이 막혀 전진할 수가 없었다. 이에 군사들을 시켜서 흙과 나무로 진창을 메우게 하였는데, 태종도 직접 흙과 나무를 등에 지고 날라서 메웠다고 한다. <新唐書 卷220 東夷列傳 高句麗>
❏ 평오[平吳] 진(晋) 나라 왕준(王濬)이 배를 타고 대군을 거느리고 가서 오(吳) 나라를 평정하였다.
❏ 평원군[平原君] 조나라 공자 조승(趙勝)을 말한다. 봉지(封地)가 평원(平原 : 지금의 산동성에 평원현(平原縣) 경내)에 있어 평원군(平原君)이라 했다. 무령왕(武靈王)의 아들이며 혜문왕(惠文王)의 동복(同腹) 동생이다. 혜문왕과 효성왕(孝成王)때 조나라의 상국을 역임했으며 천하의 선비들을 불러모아 그 문하에 있던 식객의 수가 3천 명에 달했다. 조나라가 장평(長平)에서 진나라와의 싸움에서 크게 패한 후에 진나라 군사들이 한단을 포위하자 한단성 안의 백성들과 군사들이 지쳐서 형세가 위급하게 되었다. 이에 평원군은 가산을 털어 백성들과 군사들을 독려하여 3년 동안 진나라 군사들의 포위공격을 막아냈다. 후에 위나라에는 사자를 보내 구원군을 청하게 하고, 자신은 빈객(賓客) 모수(毛遂) 등을 대동하고 원군을 청하기 위해 초나라에 갔다. 이윽고 위나라와 초나라가 원군을 동원하여 조나라를 구원하자 진나라는 한단성의 포위를 풀고 물러갔다. 모수가 자신이 자기를 추천하면서 했던 낭중지추(囊中之錐)라는 고사성어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 평원독우[平原督郵] 좋지 못한 술은 평원독우(平原督郵)라 부르고 좋은 술을 청주종사(靑州從事)라 부르는데 그것은 평원에 격현(鬲縣)이 있고 청주에 제현(齊縣)이 있는데, 좋지 못한 술은 가슴[膈]에서 오르내리고 좋은 술은 배꼽[臍]까지 내려간다는 뜻으로 그렇게 술에다 은어(隱語)를 붙인 것이다.
❏ 평원십일음[平原十日飮] 전국 시대 조(趙) 나라의 공자로 전국 사군(戰國四君)의 하나인 평원군(平原君)을 가리킨다. 진 소왕(秦昭王)이 그를 유혹하기 위해서 짐짓 열흘 동안 함께 술을 마셔 보자[寡人願與君爲十日之飮]고 청한 고사가 있다. <史記 范睢蔡澤列傳>
❏ 평원약[平原約] 술자리를 만들어 보겠다는 말이다. 전국 시대 진 소왕(秦昭王)이 조(趙) 나라 평원군(平原君)을 유혹하며 열흘 동안 술을 마셔 보자고 청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史記 范睢蔡澤列傳>
❏ 평원입락편[平原入洛篇] 평원은 진(晉) 나라 때 평원 내사(平原內史)를 지낸 문장가 육기(陸機)를 이르는데, 그는 일찍이 오(吳) 나라가 멸망함을 개탄하여 변망론(辨亡論) 2편을 짓고, 아우 육운(陸雲)과 함께 낙양(洛陽)에 들어가 벼슬을 하기 시작했었기 때문에 한 말이다. <晉書 卷五十四>
❏ 평원주문맹[平原主文盟] 삼국 시대 위(魏) 나라 때 평원후(平原侯)에 봉해진 조식(曹植)을 가리킨다. 조식은 문재(文才)가 대단히 뛰어났으며, 사조(詞藻)가 부려(富麗)하여 세상에서 수호(繡虎)라고 칭송되어 울연히 당시 문단의 기둥이 되었다. <三國志 卷19 魏書 陳思王植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장어참[蔽鄣於讒], 폐추향금[敝箒享金], 폐포파립[蔽袍破笠], 폐합중개[閉閤重開], 폐호불규원[閉戶不窺園] (0) | 2023.03.26 |
---|---|
폐양희[吠暘曦], 폐요[吠堯], 폐우[蔽牛], 폐월수화[閉月羞花], 폐유리[吠琉璃], 폐이후이[斃而後已] (0) | 2023.03.26 |
폐고[吠高], 폐관[閉關], 폐구[弊裘], 폐부[肺腑], 폐생진[肺生塵], 폐석[肺石], 폐순[陛楯] (0) | 2023.03.26 |
평천[平泉], 평천장[平泉莊], 평포잔각[平鋪剗却], 평향정[萍鄕政], 평협[平脅] (0) | 2023.03.26 |
평자부[平子賦], 평제왕후[平帝王后], 평중엽[平仲葉], 평지풍파[平地風波], 평진관[平津官] (0) | 2023.03.22 |
평사낙안[平沙落雁], 평생일반[平生一飯], 평수[萍水], 평실[萍實] (0) | 2023.03.22 |
평발[平勃], 평번[平反], 평번소[平反笑], 평번일소[平反一笑], 평봉[萍蓬] (0) | 2022.12.08 |
평강화월[平康花月], 평구역[平丘驛], 평금[苹芩], 평대[平臺], 평등법[平等法], 평륙[平陸] (0) | 2022.12.08 |
편주승흥[扁舟乘興], 편주의[扁舟意], 편천[褊淺], 편호[編戶], 폄체[貶遞] (0) | 2022.12.08 |
편사[偏師], 편석교창해[鞭石橋滄海], 편우[片羽], 편장급마복[鞭長及馬腹], 편적장[片炙杖]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