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평자[平子]  후한(後漢) 때 오경(五經)에 능통하고 육예(六藝)에도 익숙했다는 장형(張衡)의 자이다. 그 당시 사치한 풍조를 개탄하여 이도부(二都賦)를 지어 풍간했다. 그의 귀전부(歸田賦)는 특히 유명하다.

평자부[平子賦]  평자는 후한(後漢) 때의 문장가 장형(張衡)의 자(字)이다. 그때 천하가 태평하여 사치를 힘쓰므로 그가 낙양(洛陽)에 대한 동경부와 장안(長安)에 대한 서경부(西京賦)를 지어 온갖 풍물의 아름다움과 산천의 내력을 서술하였다. <後漢書 張衡列傳>

평장[平章]  고려 때의 벼슬로 정 2품에 해당하는 평장사(平章事)의 약칭이다.

평장[平章]  평장은 평화롭고 밝게 한다는 뜻이다.

평제왕후[平帝王后]  한(漢)나라 평제(平帝)의 왕황후(王皇后)는 왕망(王莽)의 딸이다. 황후가 된지 일년 만에 평제가 죽고 그의 아버지 왕망이 마침내 나라를 빼앗았다. 왕황후를 다시 다른 데로 시집보내려하니 죽기로써 절개를 지켰다. 그 뒤에 한(漢)나라가 중흥되어 왕망이 망하자 왕황후는 “내 무슨 면목으로 한가(漢家)를 보리.” 하고 스스로 불에 뛰어 들어 죽었다.

평주[平周]  지금의 산서성 개휴현(介休縣) 서쪽의 전국 때 위(魏)나라 고을이다.

평중[平仲]  춘추 시대 제(齊) 나라의 현대부(賢大夫) 안영(晏嬰)의 자(字)이다.

평중엽[平仲葉]  은행나무잎을 이른다. 평중은 은행나무의 별칭이다.

평지파란[平地波瀾]  평평한 땅에 파도가 일어난다는 말로, 잘되던 일을 일부러 어렵게 만들거나 또는 분쟁을 일으킨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평지풍파[平地風波]  당(唐) 나라 유우석(劉禹錫)의 죽지사(竹枝詞)에 “늘 한스러운 건 사람 마음이 물처럼 고요하지 못해, 등한한 평지에서 풍파를 일으키는 것일세.”라 하였다. 즉 마음이 자칫 흔들리면 평탄한 땅에서 풍파가 일어나는 법이라는 뜻이다.

평진관[平津官]  한 무제(漢武帝) 때 평진후(平津侯)에 봉해진 승상(丞相) 공손홍(公孫弘)의 관저(官邸) 이름인데, 공손홍은 이 관저의 동각(東閣)을 열어놓고 항상 현사(賢士)를 기다렸다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