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평천[平泉] 고을 이름. 중국 열하성(熱河省)에 소속된 고을로 당(唐)의 이덕유(李德襦)가 노닐며 쉬던 곳과 별장이 있다. 이덕유가 쓴 평천수석기(平泉樹石記)가 있다.
❏ 평천[平泉] 별장(別莊). 당 나라 이덕유(李德裕)의 별장인 평천장이 하남성(河南省) 낙양현(洛陽縣)의 남쪽에 있었는데, 수석의 아름다움이 천하제일이며 기화이초(奇花異草)와 진송괴석(珍松怪石)이 그 사이에 늘어 있어 유명해 졌다.
❏ 평천[平川] 충청도 성환(成歡)의 속역(屬驛)이다.
❏ 평천장[平泉莊] 평천장은 당(唐) 나라 이덕유(李德裕)의 별장 이름인데, 천하의 기화이초(奇花異草)와 진송괴석(珍松怪石)이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없었다 한다. 이덕유는 평천장을 지어 놓고 자손들에게 훈계하기를 “이것을 파는 자는 나의 자손이 아니며, 꽃 하나 돌 하나라도 남에게 주는 자도 훌륭한 자손이 아니다.”고 했었으나, 뒤에 그곳의 많은 꽃과 돌이 유력한 사람들의 손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 평천회객용피골[平泉會客龍皮滑] 당(唐) 나라 이덕유(李德裕)가 자신의 별장인 평천장(平泉莊)에서 여름에 주연(酒宴)을 베풀 때, 황금 항아리에 담은 물로 백룡피(白龍皮)를 적셔 놓으니 한기(寒氣)가 일어나면서 서늘해졌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劇談錄 李德裕>
❏ 평초[平楚] 높은 곳에서 바라볼 때 나무숲이 가지런하게 보이는 것을 말한다.
❏ 평평[平平] 펀펀함, 평범함, 같음, 고름. 공평하고 치우치지 않음.
❏ 평평정원후[平平定遠侯] 한나라의 반초(班超)가 중앙아시아 지방을 통치하여서 성공하였는데, 그는 평화를 항상 주장하였다.
❏ 평포잔각[平鋪剗却] 평포는 평평한 모양을 뜻하고, 잔각은 깎아버린다는 뜻으로, 이백(李白)의 시에 “우뚝 솟은 군산을 깎아버려서 상수의 흐름을 평평하게 하다.[剗却君山好 平鋪湘水流]”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李太白集 卷十九>
❏ 평향정[萍鄕政] 조그마한 고을에 베풀어지는 선정(善政)을 말한다. 평향은 강서성(江西省) 원주부(袁州府) 안성군(安成郡) 서쪽의 고을 이름으로, 일찍이 하무기(何無忌)가 평향현공(萍鄕縣公)에 봉해지기도 하였다.<晉書 卷85 何無忌傳> 당(唐) 나라 최동(崔峒)의 시에 “조그마한 평향 고을 잘 다스려서 황제의 하사품을 받다니 참으로 아까운 인재로다.[萍鄕露冕眞堪惜]”라는 구절이 있다.
❏ 평협[平脅] 고른 갈비뼈. 즉 가슴팍이 평평하고, 주름이 없는 몸, 형체.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과탄[匏瓜嘆], 포관격탁[抱關擊柝], 포금작랄[鋪金作埒], 포기[包杞] (0) | 2023.03.28 |
---|---|
포객[逋客], 포견[袍繭], 포계[匏繫], 포고뇌문[布鼓雷門], 포곤[褒袞] (0) | 2023.03.28 |
폐장어참[蔽鄣於讒], 폐추향금[敝箒享金], 폐포파립[蔽袍破笠], 폐합중개[閉閤重開], 폐호불규원[閉戶不窺園] (0) | 2023.03.26 |
폐양희[吠暘曦], 폐요[吠堯], 폐우[蔽牛], 폐월수화[閉月羞花], 폐유리[吠琉璃], 폐이후이[斃而後已] (0) | 2023.03.26 |
폐고[吠高], 폐관[閉關], 폐구[弊裘], 폐부[肺腑], 폐생진[肺生塵], 폐석[肺石], 폐순[陛楯] (0) | 2023.03.26 |
평자부[平子賦], 평제왕후[平帝王后], 평중엽[平仲葉], 평지풍파[平地風波], 평진관[平津官] (0) | 2023.03.22 |
평악관[平樂觀], 평안화[平安火], 평원독우[平原督郵], 평원약[平原約] (0) | 2023.03.22 |
평사낙안[平沙落雁], 평생일반[平生一飯], 평수[萍水], 평실[萍實] (0) | 2023.03.22 |
평발[平勃], 평번[平反], 평번소[平反笑], 평번일소[平反一笑], 평봉[萍蓬] (0) | 2022.12.08 |
평강화월[平康花月], 평구역[平丘驛], 평금[苹芩], 평대[平臺], 평등법[平等法], 평륙[平陸] (0) | 2022.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