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평사낙안[平沙落雁] 평평한 모래톱에 내려앉은 기러기처럼 글씨나 문장이 단아(端雅)한 것을 말한다. 한편 소상팔경(蘇湘八景)의 하나로 동양화의 화제(畵題)가 되기도 한다. 전자(前者)의 의미일 때는 용사비등(龍蛇飛騰)의 대(對)가 된다.
❏ 평생대상약[平生對床約] “평생을 평상을 마주하기로 약속한다”는 의미이다. 당대(唐代)의 시인 위응물(韋應物)의 시 시전진원상(示全眞元常)에 “나는 태수를 그만두고 떠나고, 너는 바깥일로 거리끼었는데, 어찌 알았으랴 비바람 치는 밤에, 다시 서로 와상 마주해 자게 될 줄을.[余辭郡符去 汝爲外事牽 寧知風雨夜 復此對牀眠]”이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전하여 형제간에 서로 만나 한방에서 담화를 나누며 즐거워하는 것을 의미한다.
❏ 평생일반[平生一飯] 한신(韓信)이 빨래하는 노파에게 밥 한 그릇을 얻어먹었는데, 뒤에 성공하여 그 고마움을 잊지 않고 보답하였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史記 韓信列傳>
❏ 평생지략전황석[平生智略傳黃石] 장량(張良)이 하비(下邳)라는 땅에서 어떤 노인을 만나 책 한 권을 전해 받았는데, 그 책은 모두 기이한 계략의 운용하는 방법을 일러준 책이었고, 그 노인은 황석공(黃石公)이라는 옛 신선이라 한다.
❏ 평성[平城] 지금의 산서성 대동시(大同市)를 말한다.
❏ 평성[平城] 평성은 평산(平山)의 별호이다.
❏ 평수[萍水] 물에 뜬 부평초처럼 정처없이 떠다니는 신세를 말한다.
❏ 평실[萍實] 평실은 수초(水草)의 열매인데, 옛날 초왕(楚王)이 강을 건너다가 평실을 얻었는바, 크기는 말[斗]만하고 붉기는 태양과 같았는데, 먹어보니 꿀처럼 달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양희[吠暘曦], 폐요[吠堯], 폐우[蔽牛], 폐월수화[閉月羞花], 폐유리[吠琉璃], 폐이후이[斃而後已] (0) | 2023.03.26 |
---|---|
폐고[吠高], 폐관[閉關], 폐구[弊裘], 폐부[肺腑], 폐생진[肺生塵], 폐석[肺石], 폐순[陛楯] (0) | 2023.03.26 |
평천[平泉], 평천장[平泉莊], 평포잔각[平鋪剗却], 평향정[萍鄕政], 평협[平脅] (0) | 2023.03.26 |
평자부[平子賦], 평제왕후[平帝王后], 평중엽[平仲葉], 평지풍파[平地風波], 평진관[平津官] (0) | 2023.03.22 |
평악관[平樂觀], 평안화[平安火], 평원독우[平原督郵], 평원약[平原約] (0) | 2023.03.22 |
평발[平勃], 평번[平反], 평번소[平反笑], 평번일소[平反一笑], 평봉[萍蓬] (0) | 2022.12.08 |
평강화월[平康花月], 평구역[平丘驛], 평금[苹芩], 평대[平臺], 평등법[平等法], 평륙[平陸] (0) | 2022.12.08 |
편주승흥[扁舟乘興], 편주의[扁舟意], 편천[褊淺], 편호[編戶], 폄체[貶遞] (0) | 2022.12.08 |
편사[偏師], 편석교창해[鞭石橋滄海], 편우[片羽], 편장급마복[鞭長及馬腹], 편적장[片炙杖] (0) | 2022.11.04 |
편고[偏枯], 편면[便面], 편미[鞭弭], 편방[偏旁], 편복[便腹], 편복수자문[便腹手自捫]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