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평강화월[平康花月]  평강은 당 나라 때 장안 단봉가(丹鳳街)에 있던 마을 이름으로, 기생들이 모여 살았다 하여 기생들이 있는 곳을 뜻하며, 꽃과 달은 아름다운 여인을 가리킨다.

평구[平丘]  지금의 하남성 봉구현(封邱縣) 동쪽이다.

평구역[平丘驛]  양주(楊州)의 속역(屬驛)이다.

평금[苹芩]  쑥과 덩굴진 풀. 다정한 사이에 서로 마음으로 찾는 것을 뜻한 것. “사슴이 울어대며 들에 쑥을 뜯네.[呦呦鹿鳴食野之苹]” 또는 “울어대는 사슴이여 들에 덩굴풀을 뜯고 있네.[呦呦鹿鳴食野之芩]”하여, 마음에 맞는 손님을 지성으로 대하고 즐거운 잔치를 베푸는 데 비유한 뜻으로 쓰였다. <詩經 小雅 鹿鳴>

평대[平臺]  한(漢) 나라 양효왕(梁孝王)이 추양(鄒陽), 매승(枚乘) 등 문사들과 노닐었던 누대(樓臺) 이름으로, 여기에 올라 감회를 적은 이태백(李太白)의 양원음(梁園吟)이 유명하다.

평등법[平等法]  불교(佛敎) 용어로, 일체중생(一切衆生)이 다 같이 평등하게 성불(成佛)하는 법을 말한다.

평로[平路]  길을 열다.

평륙[平陸]  지금의 산동성 문상현(汶上縣) 일대로 역시 제나라 령이다.

평릉[平陵]  삼척(三陟)의 속역(屬驛)이다.

평명불이내외[平明不異內外]  제갈량의 출사표(出師表)에 “궁중(官中)·부중(府中)을 다 일체로 보아, 폐하의 평명한 다스림을 밝힘이 마땅하고 편사하여 내외가 법을 달리함이 마땅치 않나이다.”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