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편갈성교[編葛成橋 임진왜란 때 문충공(文忠公) 유성룡(柳成龍)은 제독(提督) 이여송(李如松)의 명령에 의하여 중국 군대가 건널 다리를 놓기 위해 칡덩굴을 엮어 다리를 놓았었다.

편고[偏枯]  한편이 시들어 말랐다 한다. 반신불수된 사람을 말한다.

편극[片隙]  짧은 틈.

편면[便面]  얼굴을 가리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부채의 별칭이다. 한서(漢書) 장창전(張敞傳)에 “自以便面拊馬”라 했고, 그 주에 안사고(顔師古)는 “편면은 낯을 가리는 것인데 대개 부채의 유이다. 사람을 보고자 아니할 때 이로써 얼굴을 가리면 편리하므로 편면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편미[鞭弭]  말채찍과 꾸미지 아니한 활. 왕의 행차 때 쓰던 도구들이다.

❏ 편방[偏旁]  편(偏)은 한자의 왼쪽, 방(旁)은 오른쪽.

편복[便腹]  배가 두둑한 것을 말한다. 후한(後漢) 때 변소(邊韶)가 문장(文章)으로 유명하였는데 한번은 거짓 낮잠을 자는 체하고 있자 제자가 혼잣말로 “변효선(邊孝先)은 배는 잔뜩 부른데다 글읽기는 싫어하고 잠만 자려는구나.”라고 하니, 변소가 대응하기를 “잔뜩 부른 배는 곧 오경(五經) 상자이고, 자려고 하는 것은 경사(經事)를 사색함이다.”라고 하였다. <後漢書 卷八十 邊韶傳>

편복수자문[便腹手自捫]  후한(後漢) 때의 학자인 변소(邊韶)가 일찍이 수백 명의 제자를 가르쳤는데, 그가 한번은 낮잠을 자자, 제자가 혼자서 그를 조롱하기를 “변효선(邊孝先; 효선은 변소의 자)은 배는 똥똥해 가지고 글읽기는 싫어하고 잠자기만 좋아한다.”라고 하므로, 변소가 그 말을 듣고는 자기 배를 문지르면서 즉시 대꾸하기를 “똥똥한 배는 오경(五經)의 상자이고, 잠자려는 것은 경서(經書)를 생각하는 일이다. 그래서 잠잘 때는 주공(周公)과 꿈에 만나고, 조용히 있을 때는 공자(孔子)와 뜻을 같이한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八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