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패택[沛澤] 패택은 유방이 태어난 곳이다.
❏ 패판래[稗販來] 패판(稗販)의 무리를 이른 것이다.
❏ 패패[淠淠] 기가 움직이는 모양.
❏ 패패[旆旆] 기가 아래로 드리워진 모양, 날아오르는 모양 , 긴 모양.
❏ 패패[沛沛] 물이 흐르는 모양, 걸어가는 모양.
❏ 패패[孛孛] 빛이 사방으로 비추는 모양.
❏ 패풍향리[沛豐鄕里] 한 고조(漢高祖)가 풍패(豐沛)에서 처음 군사를 일으켰던 고사에서 유래하여, 나라를 세운 제왕의 고향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 패합[捭闔] 개합(開闔)과 같은 말이다. 귀곡자(鬼谷子)에 패합편(捭闔篇)이 있는데, 전국 시대 소진(蘇秦)·장의(張儀)가 스승으로 삼아 패합, 종횡의 술(術)을 배워 유세(遊說)하는 방법으로 삼았다. 개폐(開閉)·억양(抑揚)·허실(虛實) 등을 끝없이 펼쳐나가는 변술론(辯論術)을 말한다.
❏ 패합[捭闔] 귀곡자 패합(鬼谷子捭闔“에서 “‘패’는 열다, 말하다, 양이다; ‘합’은 닫다, 침묵하다, 음이다 [捭之者, 開也, 言也, 陽也; 闔之者, 閉也, 黙也, 陰也.]”라고 하였고, 또 “이 천지음양의 이치는 유세가들의 법이다[此天地陰陽之道, 而說人之法也.]”라고 하였다. 이는 다른 사람에게 말을 할 때는 입을 열 때도 있고 침묵할 때도 있으므로 이렇게 반복하여 상대방의 태도를 살핀다는 뜻이다.
❏ 패향[沛鄕] 한 고조(漢高祖)의 고향이 패현(沛縣)이었으므로, 전하여 제왕(帝王)의 고향의 뜻으로 쓰인다.
❏ 패현[佩絃] 옛날에, 서문표(西門豹)는 성질이 급하여 늘 가죽줄을 차서[佩韋] 스스로 늦추었고, 동안우(董安于)는 성질이 느려 늘 활줄을 차서 스스로 팽팽히 했다 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사[偏師], 편석교창해[鞭石橋滄海], 편우[片羽], 편장급마복[鞭長及馬腹], 편적장[片炙杖] (0) | 2022.11.04 |
---|---|
편고[偏枯], 편면[便面], 편미[鞭弭], 편방[偏旁], 편복[便腹], 편복수자문[便腹手自捫] (0) | 2022.11.04 |
팽택금[彭澤琴], 팽투두숙[烹頭耳熟], 팽팽[旁旁], 팽함[彭咸], 팽호족일회[烹瓠足一會] (0) | 2022.11.04 |
팽아[彭衙], 팽월[彭越], 팽조무함[彭祖巫咸], 팽택거가백리[彭澤去家百里], 팽택공전출[彭澤公田秫] (0) | 2022.10.25 |
팽갱[彭鏗], 팽두이숙[烹頭耳熟], 팽려호[彭蠡湖], 팽상[彭殤], 팽선[烹鮮], 팽성일몽[彭城一夢] (0) | 2022.10.25 |
패상[霸上], 패어[佩魚], 패엽경[貝葉經], 패왕지보[覇王之輔], 패우독[佩牛犢] (0) | 2022.10.25 |
패대계관[貝帶雞冠], 패도[覇道], 패릉유렵[覇陵遊獵], 패릉취위[霸陵醉尉], 패방[牌坊] (0) | 2022.10.07 |
패관[浿關], 패교시[灞橋詩], 패궐[貝闕], 패귀[佩龜], 패금남기[貝錦南箕], 패금투시호[貝錦投豺虎] (0) | 2022.10.07 |
패[伯], 패가대[覇家臺], 패가망신[敗家亡身], 패강[浿江], 패결인[佩玦人], 패경[貝經] (0) | 2022.10.07 |
팔차[八叉], 팔찰궁[八札弓], 팔채미[八彩眉], 팔풍[八風], 팔한지옥[八寒地獄], 팔환[八還] (0) | 2022.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