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칠시[七始] 한(漢) 나라 때의 음악 이름. 음률(音律)을 천(天)·지(地)·인(人)·춘(春)·하(夏)·추(秋)·동(冬) 일곱 가지의 시작에 비긴 것이다.
❏ 칠신탄탄[漆身呑炭] 몸에 옻칠을 하고 불붙은 숯을 삼킨다는 뜻으로, 복수를 위하여 몸을 괴롭힌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 칠실[漆室] 신분에 지나친 근심을 함을 이름. 춘추 시대 노(魯)나라 칠실읍(漆室邑)에 사는 한 여인이 나라일을 걱정하였다는 데서 온 말이다.
❏ 칠실우[漆室憂] 춘추 시대 노 나라 칠실이란 마을에 미가녀가 있었는데, 기둥을 안고 울었다. 이에 누가 묻기를 “시집을 못 갔기 때문인가?”라고 하니, 대답하기를 “어찌 그렇겠는가. 나라를 걱정하기 때문이다.”고 했다는 고사가 있다. <烈女傳 仁智 魯漆室女傳>
❏ 칠십이구[七十二鷗] 추사의 당호(堂號)이다.
❏ 칠십이봉[七十二封] 사기(史記)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에 “태산(泰山)과 양보(梁父)에 봉선(封禪)한 자가 칠십이가(七十二家)였다.”라고 하였다.
❏ 칠십이신[七十二神] 72는 천지의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성수(成數)라 하여 수많은 것을 칭한다.
❏ 칠십장계삼동리[七十長溪三洞裏] 나부산이 유심(幽深)하고, 괴기(塊奇)하여 그 안에 긴 시내가 70군데이고, 동천(洞天)이 세 군데가 있다.
❏ 칠십진구추[七十眞九雛] 공자의 72제자가 모두 도를 통하여 봉황새처럼 훌륭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공자의 제자는 3천 명이었는데 직접 육예(六藝)에 통한 자가 72명이었다. <史記 卷四十七 孔子世家>
❏ 칠십칠자[七十七字] 우비(禹碑) 비문의 글자 수. 그 비문이 일흔일곱 자로 되어 있다. <琅琊代醉編 禹碑>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정[七情]~칠정선기[七政璿璣]~칠조[七祖]~칠조대의[漆雕大義]~칠종칠금[七縱七擒] (0) | 2021.05.27 |
---|---|
칠자[七子]~칠저[漆沮]~칠전팔기[七顚八起]~칠전팔도[七顚八倒]~칠절[七絶] (0) | 2021.05.27 |
칠유[七誘]~칠의[七依]~칠인작자미상명[七人作者未嘗名]~칠일지복[七日之復]~칠일요중래[七日要重來] (0) | 2021.05.26 |
칠옹[漆翁]~칠요[七曜]~칠웅[七雄]~칠원리[漆園吏]~칠월편[七月篇] (0) | 2021.05.26 |
칠애시[七哀詩]~칠양[七襄]~칠언삼첩[七言三疊]~칠역[七繹]~칠엽초선[七葉貂蟬] (0) | 2021.05.26 |
칠불감[七不堪]~칠불사[七佛寺]~칠사관잠[七事官箴]~칠상[七相]~칠성미양야[七聖迷襄野] (0) | 2021.05.24 |
칠발[七發]~칠변[七辯]~칠보산[七寶山]~칠보시[七步詩]~칠보지재[七步之才]~칠부[七扶] (0) | 2021.05.24 |
칠령팔락[七零八落]~칠륜선[七輪扇]~칠리뢰[七里瀨]~칠리탄[七里灘]~칠묘[七廟] (0) | 2021.05.24 |
칠난감[七難堪]~칠덕무[七德舞]~칠도신[漆塗身]~칠등[漆燈]~칠략[七略] (0) | 2021.05.24 |
칠교[七校]~칠국[七國]~칠귀[七鬼]~칠귀[七貴]~칠금[七擒] (0) | 202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