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칠발[七發] 매승이 칠사(七事)를 들어 초 태자(楚太子)를 계발(啓發)하고 양 효왕(梁孝王)을 풍간(諷諫)하던 것으로, 총 8수의 문(文)이 전해진다.
❏ 칠발[七發] 일곱 가지 사항으로 왕자를 깨우침. 한(漢)의 매승(枚乘)이 문장 솜씨가 능했는데, 양 효왕(梁孝王)을 섬기면서 우의(寓意)가 담긴 7개 항의 글을 써서 모반(謀反)을 말도록 풍간(諷諫)을 하였다.<漢書 卷五十一>
❏ 칠변[七辯] 시(詩)·부(賦)·영헌(靈憲)·현도(縣圖) 등 30편의 저서 중의 하나이다. <後漢書 張衡傳>
❏ 칠보산[七寶山] 유사(遺事)에 “명황이 근정루(勤政樓)에 칠보로 일곱 자 높이의 산좌(山座)를 만들어 놓고 여러 학사들을 불러 경의(經義)와 시무(時務)를 강론케 하여, 우승한 이만이 그 산좌에 올라앉도록 했는데, 장구령(張九齡)의 의론이 마치 바람이 일듯 잇달아 나왔으므로 산좌에 오르게 되었고 다른 사람은 어림도 없었다.”라고 하였다.
❏ 칠보시[七步詩] 삼국 시대 위(魏)의 조식(曹植)이 지은 칠보시(七步詩)를 말한다. 조식은 뛰어난 문재(文才)가 있었는데, 이것을 시기한 형인 문제(文帝; 曹丕)는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에 시를 짓게 하고 만일 못 지으면 벌을 주려고 하였으나 그는 과연 칠보 동안에 “콩대로 불을 지펴 콩을 볶으니 콩알이 솥 안에서 서글피 우네. 본디 한 뿌리에서 생겨났거늘 어찌하여 무참히 볶아대는지[煮豆燃豆箕 豆在釜中泣 本是同根生 相煎何大急]”라고 연두시(燃豆詩)를 지었다. 문사(文思)가 민첩한 것을 뜻한다. <世說新語 文學>
❏ 칠보지시[七步之詩]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지은 시(詩)란 뜻으로, 훌륭한 시재(詩才)를 비유하는 말.
❏ 칠보지재[七步之才] 일곱 걸음을 옮기는 동안 시를 지을 수 있는 재주. 아주 뛰어난 글재주. 조식(曹植)의 고사에서 연유하였다.
❏ 칠부[七扶] 일부(一扶)는 네 손가락을 펴서 이은 길이로서, 칠부는 대략 일척 오촌(一尺五寸) 되는 높이를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칠유[七誘]~칠의[七依]~칠인작자미상명[七人作者未嘗名]~칠일지복[七日之復]~칠일요중래[七日要重來] (0) | 2021.05.26 |
---|---|
칠옹[漆翁]~칠요[七曜]~칠웅[七雄]~칠원리[漆園吏]~칠월편[七月篇] (0) | 2021.05.26 |
칠애시[七哀詩]~칠양[七襄]~칠언삼첩[七言三疊]~칠역[七繹]~칠엽초선[七葉貂蟬] (0) | 2021.05.26 |
칠시[七始]~칠신탄탄[漆身呑炭]~칠실우[漆室憂]~칠십이신[七十二神]~칠십진구추[七十眞九雛] (0) | 2021.05.24 |
칠불감[七不堪]~칠불사[七佛寺]~칠사관잠[七事官箴]~칠상[七相]~칠성미양야[七聖迷襄野] (0) | 2021.05.24 |
칠령팔락[七零八落]~칠륜선[七輪扇]~칠리뢰[七里瀨]~칠리탄[七里灘]~칠묘[七廟] (0) | 2021.05.24 |
칠난감[七難堪]~칠덕무[七德舞]~칠도신[漆塗身]~칠등[漆燈]~칠략[七略] (0) | 2021.05.24 |
칠교[七校]~칠국[七國]~칠귀[七鬼]~칠귀[七貴]~칠금[七擒] (0) | 2021.05.24 |
칠가[漆痂]~칠거[七擧]~칠거지악[七去之惡]~칠격[七激]~칠계[七啓]~칠관혼돈증개규[七官混沌曾開竅] (0) | 2021.05.23 |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친라올군[親羅兀軍]~친자[親炙]~친향선니[親享宣尼] (0) | 2021.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