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칠정[七政] 북두칠성을 가리킨다. 사기(史記) 천관서(天官書)에 “북두칠성은 이른바 선기옥형으로서 칠정을 주관한다.[北斗七星 所謂旋璣玉衡 以齊七政]”고 하였다.
❏ 칠정[七情]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의 감정으로, 희(喜), 노(怒), 애(哀), 낙(樂), 애(愛), 오(惡), 욕(欲)을 말한다.
❏ 칠정[七政] 일월(日月)·오성(五星)을 말한다. 서경(書經) 순전(舜典)에 “在璿璣玉衡以齊七政”이라고 보이는데, 그 전(傳)에 ‘七政 日月五星各異政 舜察天文 齊七政 以審己當天心與否’라고 보인다.
❏ 칠정선기[七政璿璣] 서경(書經) 순전(舜典)의 “선기옥형을 관측하여 칠정을 조정한다.”라고 한 데서 나온 말로, 칠정은 일·월과 금·목·수·화·토 다섯 별인데, 춘·하·추·동·천문(天文)·지리(地理)·인도(人道)라는 설도 있다. 선기옥형은 옥으로 장식한 천체(天體)를 관측하는 기구이다.
❏ 칠조[七祖] 중국 선종(禪宗)의 초조(初祖)인 달마(達磨)로부터 혜가(慧可), 승찬(僧璨), 도신(道信), 홍인(弘忍), 혜능(慧能)까지를 육조(六祖)라 하는데, 7조에 대해서는 이설이 많으나 보통은 혜능의 제자인 신회(神會)를 꼽고 있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몸을 쌍봉사에 허락받고서, 문에 들어가 칠조선을 구하네.[身許雙峰寺 門求七祖禪]”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9 秋日夔府詠懷奉寄鄭監審李賓客之芳一百韻>
❏ 칠조대의[漆雕大義] 정자(程子)는 “칠조개(漆雕開)는 이미 대의(大義)를 보았다.”고 하였다.
❏ 칠종[七縱] 제갈량(諸葛亮)이 남만(南蠻)의 괴수 맹획(孟獲)과 싸워서 일곱 번 놓아 주었다가 다시 일곱 번 잡았다.
❏ 칠종칠금[七縱七擒] 적병(敵兵)을 일곱 번 사로잡고, 또 이를 일곱번 놓아준다는 뜻으로, 전략에 뛰어난 것을 일컫는 말. 제갈량(諸葛亮)이 맹획(孟獲)을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사로잡은 고사에서, 마음대로 잡았다 놓아 주었다 하는 것을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어[浸魚]~침어낙안[沈魚落雁]~침옥고의홀거삼[寢屋皐衣忽擧三]~침원[寢園]~~침위[枕幃] (0) | 2021.05.31 |
---|---|
침상공명[枕上功名]~침상한[沈湘恨]~침상현비[沈上峴碑]~침석수류[枕石潄流]~침선[針線] (0) | 2021.05.28 |
침류수석[枕流漱石]~침명도[沈冥圖]~침묘[寢廟]~침문[寢門]~침불시[寢不尸]~침비두예[沈碑杜預] (0) | 2021.05.28 |
침개[針芥]~침고[沈橭]~침과[枕戈]~침괴[枕塊]~침괴명발와[枕塊明發窩] (0) | 2021.05.28 |
칠중교[漆中膠]~칠지군서[七紙軍書]~칠징[七徵]~칠착[七鑿]~칠첩[漆帖]~칠협[七莢]~칠흥[七興] (0) | 2021.05.27 |
칠자[七子]~칠저[漆沮]~칠전팔기[七顚八起]~칠전팔도[七顚八倒]~칠절[七絶] (0) | 2021.05.27 |
칠유[七誘]~칠의[七依]~칠인작자미상명[七人作者未嘗名]~칠일지복[七日之復]~칠일요중래[七日要重來] (0) | 2021.05.26 |
칠옹[漆翁]~칠요[七曜]~칠웅[七雄]~칠원리[漆園吏]~칠월편[七月篇] (0) | 2021.05.26 |
칠애시[七哀詩]~칠양[七襄]~칠언삼첩[七言三疊]~칠역[七繹]~칠엽초선[七葉貂蟬] (0) | 2021.05.26 |
칠시[七始]~칠신탄탄[漆身呑炭]~칠실우[漆室憂]~칠십이신[七十二神]~칠십진구추[七十眞九雛] (0) | 202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