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칠불감[七不堪]  진(晉) 나라 때 혜강이 자기에게 벼슬을 하라고 권유한 산도(山濤)에게 보낸 절교서(絶交書)에서, 자신이 관직 생활을 감당할 수 없는 일곱가지 조건[七不堪]을 내세운 것을 이르는데, 그 일곱 가지 감당할 수 없는 조건을 열거한 데에 의하면 “누우면 늦게 일어나기를 좋아하는데, 문지기가 끝없이 불러대는 것이 첫째로 감당할 수 없는 일이요 …… ”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嵇中散集 卷二>

칠불사[七佛寺]  북성(北城) 밖에 있는 절 이름으로, 일곱 명의 승려가 수(隋) 나라 군대를 강물 속으로 유인하여 몰살시켰다는 전설이 전한다. <新增東國輿地勝覽 卷52 安州牧>

칠사관잠[七事官箴]  훌륭한 수령이 갖춰야 할 일곱 가지 조목, 즉 농상성(農桑盛), 호구증(戶口增), 학교흥(學校興), 군정수(軍政修), 부역균(賦役均), 사송간(詞訟簡), 간활식(奸猾息)을 이른다. <經國大典 吏典 考課>

칠상[七相]  칠상은 7인의 재상을 말한다. 한(漢) 나라의 차천추(車千秋)·황패(黃霸)·왕상(王商)·왕가(王嘉)·위현(韋賢)·평당(平當)·위상(魏相)이다.

칠상고분유벽초[七相古墳惟碧草]  인생의 허무함을 뜻하는 말이다. 칠상은 일곱 재상, 즉 한(漢) 나라 때의 차천추(車千秋)·황패(黃霸)·왕상(王商)·왕가(王嘉)·위현(韋賢)·평부(平富)·위상(魏相)을 가리킨다.

칠석[七釋]  내용은 대략 “潛虛丈人 違世遁俗 恬淡淸玄 渾沌淳樸 薄禮愚學 無爲無欲 均同死生 混齊榮辱……”이다.

칠설[七說]  환린(桓驎)의 아들 환빈(桓彬)의 저작으로 전해지기도 한다.

칠성[七姓]  후량(後梁)·요(遼)·후당(後唐)·후진(後晉)·후주(後周)·송(宋) 등 7국을 말한다.

칠성미[七聖迷]  길 잃은 것을 뜻한다. 장자(莊子) 서무귀(徐無鬼)에 “황제(黃帝)를 모시는 일곱 성인[七聖]이 양성(襄城)의 들판에서 길을 잃었다.”라고 하였다.

칠성미양야[七聖迷襄野]  황제(黃帝) 등 일곱 성인이 대도(大道)를 찾으러 떠났다가 양성 들판에서 길을 잃고 헤매던 중 목마 동자(牧馬童子)를 만나 천하를 다스리는 법을 얻어듣고는 천사(天師)라고 절을 하고서 물러나왔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莊子 徐无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