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치모팽아[癡姥烹鵝] 진서(晉書) 왕희지전(王羲之傳)에 “희지가 거위를 좋아하였다. 회계(會稽)에 사는 어떤 노파가 거위 한 마리를 길렀는데 매우 잘 울므로 사려하였으나 사지 못하였다. 그래서 희지가 친구들과 함께 이 거위를 구경하러 갔었는데, 노파가 왕희지가 온다는 말을 듣고 드디어 그 거위를 잡아 요리를 하여 대접하였으므로 희지가 여러 날 탄식하여 마지않았다.”고 하였는데, 여기서 인용한 말이다.
❏ 치무[馳騖] 어지럽게 내달림. 말을 내어 달리다.
❏ 치민[淄澠] 서로 취미가 같음을 비유한다. 치(淄)와 민(澠)은 두 강물의 이름. 열자(列子) 설부(說符)에 “백공(白公)이 묻기를 ‘물에다 물을 타면 어떻겠습니까?”라고 하니, 공자가 이르기를 ‘치수(淄水)와 민수(澠水)를 섞어놓으면 역아(易牙)는 그것을 구별한다.’고 하였다.”고 하였다.<新論九流>
❏ 치병[齒餠] 신라 2대 남해왕(南解王)이 죽은 뒤 태자 유리(儒理)가, 탈해(脫解)가 덕망이 있다 하여 서로 왕위를 사양하니, 탈해는 “신기대보(神器大寶)는 범인이 감당 못한다. 성지인(聖智人)은 이[齒]가 많다 하니 떡을 깨물어 보라.”고 하여, 치리(齒理)가 많은 유리가 왕위에 올랐다. <三國史>
❏ 치보[治譜] 치현보(治縣譜)의 약칭이다.
❏ 치복동귀[恥復東歸] 항우(項羽)가 한나라 군사에게 마지막으로 패하여 강동(江東)으로 가려다가 오강(烏江)에 이르러서는 “내가 강동(江東)의 자제(子弟) 8천명을 거느리고 중원(中原)으로 왔다가, 지금 한 사람도 살아가지 못하고 나 혼자서 무슨 면목으로 돌아가랴.”하고 목을 찔러 자살 하였다.
❏ 치빙노씨계[馳騁老氏戒] 치빙은 치빙전렵(馳騁畋獵)의 준말로, 말을 치달리며 사냥하는 것을 말한다. 노자(老子) 12장(章)에 “치빙전렵은 사람의 마음을 발광케 한다.[馳騁畋獵 令人心發狂]”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의[緇衣]~치이[鴟夷]~치이자[鴟夷子]~치이자피[鴟夷子皮] (0) | 2021.05.22 |
---|---|
치우[置郵]~치우[蚩尤]~치원공니[致遠恐泥]~치원대[致遠臺]~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0) | 2021.05.22 |
치아요사[癡兒了事]~치안책[治安策]~치애[癡獃]~치여[菑畬]~치연[癡掾]~치예[雉鷖] (0) | 2021.05.22 |
치수[錙銖]~치수[淄水]~치수화[錙銖火]~치숙[癡叔]~치순[雉馴]~치술령[鵄述嶺]~치승[癡蠅] (0) | 2021.05.22 |
치사분지[治絲棼之]~치사회수[致仕回收]~치성광[熾盛光]~치소[徵招]~치속내사[治粟內史] (0) | 2021.05.22 |
치랍[梔蠟]~치랭[齒冷]~치롱작옹[癡聾作翁]~치롱주[治聾酒]~치룡[癡龍]~치린[緇磷] (0) | 2021.05.21 |
치당[致堂]~치대전[雉帶箭]~치도[馳道]~치동우[徵動羽]~치득부서혁원추[鴟得腐鼠嚇鵷鶵] (0) | 2021.05.21 |
치각관[豸角冠]~치각다재[癡却多才]~치경[雉經]~치관[豸冠]~치구예함[鴟龜曳銜]~치국여선[治國如鮮] (0) | 2021.05.21 |
측금[側金]~측리[側理]~측조[側調]~측천[則天]~측측[惻惻]~층층련약구[層層連若姤] (0) | 2021.05.21 |
취향[醉鄕]~취향기[醉鄕記]~취향후[醉鄕侯]~취허[吹噓]~취허력[吹噓力]~취화[翠華]~취화춘[翠華春] (0) | 2021.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