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취향[醉鄕]  음주도취(飮酒陶醉)의 생활을 즐기는 은자의 거소를 말한다. 당(唐) 나라 은자인 왕적(王績)이 유령(劉伶)의 주덕송(酒德訟)을 본떠 지은 취향기(醉鄕記)가 유명하다. 왕적(王績) 취향기(醉鄕記)에 “그 고장은 중국에서 몇 천 리나 되는데, 그 땅이 넓어 가이없고, 언덕에는 험하고 가파름이 없으며, 그 기운은 화평하여 도리(道理)가 한결같고, 어둡고 밝거나 춥고 더움이 없다.[去中國不知其幾千里也, 其土廣然無涯, 無丘陵阪險, 其氣和平一揆, 無晦明寒暑.]”고 하였다.

❏ 취향[醉鄕]  취중의 경지를 이상향(理想鄕)에 비겨서 한 말. 왕적(王績) 취향기(醉鄕記)에 “취향은 중국과의 거리가 몇 천리인지 모른다. 토지는 광대하지만 구릉(丘陵)이 없으며 그곳의 기후는 화평하여 회삭 한서(晦朔寒暑)가 없고, 풍속이 대동(大同)하여 읍락(邑落)이 없음은 물론 사람들도 매우 청렴하다.” 하였다.

취향기[醉鄕記]  당(唐) 나라 왕적(王績)이 지은 문장이다. 당서(唐書) 왕적전(王績傳)에 “왕적이 취향기(醉鄕記)를 지어 유령(劉伶)의 주덕송(酒德頌)에 견주었다.[績著醉鄕記, 以次劉伶酒德頌.]”라고 보인다.

취향후[醉鄕侯]  술 좋아하는 사람을 일컫는 말. 당(唐) 나라 때 왕적(王績)이 취향기(醉鄕記)를 지어 유령(劉伶)의 주덕송(酒德頌)을 이었는데, 당인(唐人)의 시에 “만일 유령을 술의 황제로 삼는다면 또한 의당 나를 취향후로 봉해야 하리.[若使劉伶爲酒帝 亦須封我醉鄕侯]”라고 하였다.

취허[吹噓]  취우(吹竽)와 같은 말로, 자격도 없이 벼슬자리를 채우고 있으면서 국록(國祿)을 축내고 있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남곽처사(南郭處士)가 피리 부는 실력도 없으면서 삼백 인이 합주할 때에는 시늉만 하며 그 자리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독주하게 하자 그만 줄행랑을 놓았다는 고사가 전한다. <韓非子 內儲說上>

취허력[吹噓力]  사람을 천거하는 것을 비유한 말. 수서(隋書) 유림전(儒林傳)에 “침을 뱉으면 마른 물고기도 살릴 수 있고, 한번 불면 깃 떨어진 새도 날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취헌[翠軒]  박은(朴誾)의 호가 읍취헌(揖翠軒)으로 박은의 서재를 말한 것이다.

취혼초부득[醉魂招不得]  성로(成輅)는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시명(詩名)을 떨쳤는데, 서인(西人)인 정철이 실각당한 뒤로는 더욱 세상에 뜻이 없어 술로만 세월을 보내었다. 그러면서 늘 말하기를 “병들어 앓지 않고 취해 누운 상태에서 조용히 눈을 감았으면 좋겠다.”고 하였는데, 그 소원대로 어느 날 술 취해 누워서 그대로 죽었다고 한다. <國朝人物考 下>

취홍원[聚紅院]  연산군 때에 흥청악(興淸樂)이 모여 있던 곳을 말한다.

취화[翠華]  비취(翡翠)의 깃으로 장식한 천자(天子)의 기(旗). 또는 천자(天子)의 일산(日傘).

취화[翠華]  푸른 깃털 장식의 깃발 혹은 수레로, 대가(大駕)나 제왕의 대칭으로 쓰이는 표현이다.

취화춘[翠華春]  취화는 비취로 꽃 모양을 만들어서 장식한 깃발로, 천자의 깃발을 가리킨다. 두보가 이 시를 지을 당시에 천자가 낙양으로 천도한다는 소문이 있어서 사람들이 모두 천자의 깃발이 와서 봄기운이 살아나듯 화기가 돌기를 기대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