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치랍[梔蠟] 실지는 없고 겉만을 꾸민 채찍. 유종원(柳宗元)의 고편문(賈鞭文)에 “옛날 어떤 부자가 노랗고 윤이 나는 채찍을 사랑하여 많은 돈을 주고 샀었는데, 뒤에 끓는 물에 닿게 되자 형편 없는 본색이 드러났다. 그제야 보니 노랗던 것은 치자(梔子) 물을 들여서였고, 윤이 난 것은 밀[蠟]을 칠한 때문으로 가짜임을 알았다.”고 하였다.
❏ 치래창위덕[雉來彰魏德] 위 문제(魏文帝)가 임금자리에 오르려 할 때 군국(郡國)에서 흰 꿩이 열아홉 마리나 나타났다는 상주(上奏)가 있었다 한다. <魏略>
❏ 치랭[齒冷] 웃어서 입을 벌리고 있으므로 이가 시리다는 뜻이다.
❏ 치롱작옹[癡聾作翁] 사람이 때로는 어리석은 체, 귀먹은 체하여 자녀(子女)들의 과오를 하나하나 책망하지 않음으로써 가정을 화목하게 한다는 뜻으로, 당 대종(唐代宗)이 일찍이 곽자의(郭子儀)에게 이르기를 “어리석지 않고 귀먹지 않으면 가장(家長) 노릇을 할 수 없는 것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치롱주[治聾酒] 춘사일(春社日) 또는 추사일(秋社日)에 마시는 술을 말한다. 이 술을 마시면 어두운 귀가 밝아진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치룡[癡龍] 큰 염소의 별칭이다. 북몽쇄언(北夢瑣言)에 의하면, 낙중(洛中) 어떤 동굴 속에 빠졌던 사람이 큰 염소 수염에 달린 구슬을 따먹고 굴 밖에 나오게 되었는데 장화(張華)가 그 염소는 치룡이라는 짐승이라 하였다.
❏ 치린[緇磷] 근본 바탕이 외면적인 영향을 받아 물이 들거나 갈리어 나간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양화(陽貨)에 “진정으로 단단한 것이란 말을 못 들었느냐. 그것은 아무리 갈아도 갈리지 않고, 진정으로 흰 것이란 말을 못 들었느냐. 그것은 아무리 물을 들여도 검어지지 않는다.”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우[置郵]~치우[蚩尤]~치원공니[致遠恐泥]~치원대[致遠臺]~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0) | 2021.05.22 |
---|---|
치아요사[癡兒了事]~치안책[治安策]~치애[癡獃]~치여[菑畬]~치연[癡掾]~치예[雉鷖] (0) | 2021.05.22 |
치수[錙銖]~치수[淄水]~치수화[錙銖火]~치숙[癡叔]~치순[雉馴]~치술령[鵄述嶺]~치승[癡蠅] (0) | 2021.05.22 |
치사분지[治絲棼之]~치사회수[致仕回收]~치성광[熾盛光]~치소[徵招]~치속내사[治粟內史] (0) | 2021.05.22 |
치모팽아[癡姥烹鵝]~치무[馳騖]~치민[淄澠]~치병[齒餠]~치복동귀[恥復東歸]~치빙노씨계[馳騁老氏戒] (0) | 2021.05.21 |
치당[致堂]~치대전[雉帶箭]~치도[馳道]~치동우[徵動羽]~치득부서혁원추[鴟得腐鼠嚇鵷鶵] (0) | 2021.05.21 |
치각관[豸角冠]~치각다재[癡却多才]~치경[雉經]~치관[豸冠]~치구예함[鴟龜曳銜]~치국여선[治國如鮮] (0) | 2021.05.21 |
측금[側金]~측리[側理]~측조[側調]~측천[則天]~측측[惻惻]~층층련약구[層層連若姤] (0) | 2021.05.21 |
취향[醉鄕]~취향기[醉鄕記]~취향후[醉鄕侯]~취허[吹噓]~취허력[吹噓力]~취화[翠華]~취화춘[翠華春] (0) | 2021.05.20 |
취자생[娶訾生]~취전[聚羶]~취증[翠曾]~취진[驟進]~취처생자[娶妻生子]~취탈화[醉脫靴]~취포[吹布] (0) | 2021.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