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출면사[出麪桫] 사라(桫椤)나무는 곤륜산(崑崙山)에서 나는 나무로 이 나무에서는 밀가루가 나오는데, 뿌리를 옮겨 심을 수 없기 때문에 세속 사람들이 완상할 수가 없다고 한다.
❏ 출몰무쌍[出沒無雙] 출몰(出沒: 나타났다 사라졌다 함)이 무쌍(無雙: 견줄 만한 짝이 없음)한다. 나타났다 숨었다 하는 것이 비길 데 없을 만큼 심함을 말한다.
❏ 출사편[出師篇] 출사편은 제갈량(諸葛亮)의 출사표(出師表)를 말한 것인데, 제갈량이 위(魏)나라로 출병하면서 임금에게 올린 글로써 충의(忠義)가 가득한 글이다.
❏ 출사표[出師表] 촉한(蜀漢)의 제갈량(諸葛亮)이 위(魏) 나라를 치려고 출병(出兵)할 때 후주(後主) 유선(劉禪)에게 올린 표문(表文), 전후 2편으로 되어 있다.
❏ 출새가[出塞歌] 옛날에 종군(從軍)하여 국경으로 나갈 적에는 출새곡(出塞曲)을 불렀다.
❏ 출새가[出塞歌] 한 문제(漢武帝) 때 이연년(李延年)이 호곡(胡曲)을 기초로 하여 만든 횡취곡(橫吹曲)의 이름인데, 군중의 음악으로 말 위에서 연주하는 것이라 한다.
❏ 출새곡[出塞曲] 국경으로 출병할 때에는 군악(軍樂)으로 출새곡(出塞曲)을 울린다.
❏ 출새삼신[出塞三臣] 삼신(三臣)은 청(淸) 나라를 극력 배척했던 홍익한(洪翼漢), 오달제(吳達濟), 윤집(尹集) 삼학사(三學士)를 가리킨 것으로, 조선과 청나라와의 화의가 성립된 후 청나라의 요청에 의해 이들이 청나라에 잡혀 갈 적에 인조가 이들을 불쌍히 여겨 친히 접견하여 위로해 주었다. 이들은 청나라에서 끝내 살해되고 말았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여사[蟲與沙]~충여흔[虫餘痕]~충우자기[衝牛紫氣]~충인[充蚓]~충조[蟲雕]~충충[忡忡] (0) | 2021.05.19 |
---|---|
충사[蟲沙]~충신행만맥[忠信行蠻貊]~충어검학[蟲魚撿學]~충어첨주[蟲魚添注]~충언역이[忠言逆耳] (0) | 2021.05.19 |
충막[沖漠]~충명일[种明逸]~충민촉[忠愍燭]~충비서간[蟲臂鼠肝] (0) | 2021.05.19 |
충거[衝車]~충곡[蟲鵠]~충국둔종[充國屯種]~충동한우[充棟汗牛]~충려가경[充閭佳慶] (0) | 2021.05.19 |
출연[怵然]~출입사촌간[出入四寸間]~출장입상[出將入相]~출처행장[出處行藏]~출체[黜遞] (0) | 2021.05.19 |
출가[出家]~출견인도녀[出見闉闍女]~출경입필[出警入蹕]~출곡천교[出谷遷喬]~출과회음[出跨淮陰] (0) | 2021.05.19 |
춘추곤월엄[春秋袞鉞嚴]~춘추오패[春秋五覇]~춘치자명[春雉自鳴]~춘훤[椿萱] (0) | 2021.05.19 |
춘장[春場]~춘장[椿丈]~춘조[春曹]~춘주[春酒]~춘첩자[春帖子]~춘초애왕손[春草哀王孫]~춘총[春蔥] (0) | 2021.05.18 |
춘사[春社]~춘수훤화[椿樹萱花]~춘앵[春鶯]~춘와추선[春蛙秋蟬]~춘인추사[春蚓秋蛇] (0) | 2021.05.16 |
춘반[春盤]~춘방[春坊]~춘번[春幡]~춘복성[春服成]~춘부장[椿府丈]~춘빙루화[春氷鏤花] (0) | 202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