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충사[蟲沙] 전쟁터에서 죽은 군사들을 말한다. 포박자(抱朴子)에 “전장에서 죽은 장교들은 원학(猿鶴)이 되고, 군사들은 충사(蟲沙)가 되었다.”라고 하였다.
❏ 충사[虫絲] 거미줄과 같은 벌레들의 토물(吐物)을 말한다.
❏ 충사평제외후현[忠詐評題畏後賢] 송(宋) 나라 때 간원(諫院)에 역대 간관(諫官)의 이름을 돌에 새겼는데, 사마광(司馬光)이 지은 간원제명기(諫院題名記)에 “뒷사람들이 하나하나 이름을 지적하면서 ‘아무는 충성스러웠고 아무는 간사했으며, 아무는 정직했고 아무는 정직하지 못했다.’고 할 것이니, 어찌 두렵지 않겠는가.”라고 하였으므로, 여기에서 온 것이다.
❏ 충신[忠信] 공자(孔子)가 여량(呂梁)의 폭포를 구경할 때에, 폭포가 3천 길이나 되고 물거품이 40리나 되는데, 한 남자가 무사히 들어갔다가 무사히 나왔다. 공자가 “그대는 무슨 도술이 있는가?”라고 하니, 그가 말하기를 “나는 충신(忠信)으로 들어갔다가 충신으로 나온다.”라고 하였다. <列子>
❏ 충신행만맥[忠信行蠻貊] 논어(論語) 위령공(衛靈公)에 “말이 성실하고 믿음직스러우며 행동이 독실하고 공경스러우면 남만(南蠻)과 북적(北狄) 같은 나라에 가더라도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言忠信 行篤敬 雖蠻貊之邦 行矣]”라는 공자의 말이 실려 있다.
❏ 충어검학[蟲魚撿學] 충어는 벌레와 물고기. 곧 경전에 나오는 각종 벌레와 물고기를 분석하고 따져 풀이한다는 말에서 인용한 것으로, 시경을 풀이하는 작업을 한다는 것이다.
❏ 충어고[蟲魚詁] 이아(爾雅)에서 충어에 대하여 주석을 낸 것을 가리키는데, 전하여 고증가(考證家)의 일을 의미한다.
❏ 충어주[蟲魚註] 잗단 고증가(考證家)의 일을 말한다. 한유(韓愈)의 시에 “이아에는 충어를 주석했으니 정히 뜻 큰 사람이 아니로다.[爾雅註蟲魚 定非磊落人]”라고 하였다.
❏ 충어첨주[蟲魚添注] 고서(古書)를 고증(考證)하는 일을 비유한 말이다. 한유(韓愈)의 시에 “이아에 충어를 주석 내는 것은, 정히 큰 뜻 지닌 사람의 일이 아니다.[爾雅注蟲魚定非磊落人]”라고 하였다.
❏ 충언역이[忠言逆耳] 충직한 말은 귀에 거슬림. 바른 말은 사람들이 듣기 싫어한다. 충고의 말은 그 당시에는 듣기 싫으나 받아들이면 자신에게 이롭다는 의미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모[醉帽]~취모[吹帽]~취모광[吹帽狂]~취모구자[吹毛求疵]~취모멱자[吹毛覓疵]~취미상[翠微上] (0) | 2021.05.20 |
---|---|
취교화승[翠翹花勝]~취굴주[聚窟洲]~취량몽[炊粱夢]~취령산[鷲嶺山]~취막[毳幕]~취만부동[吹萬不同] (0) | 2021.05.20 |
취가오물[醉歌傲物]~취개홍장[翠蓋紅粧]~취거[觜距]~취검혈[吹劍吷]~취격타호[醉擊唾壺] (0) | 2021.05.20 |
충풍[衝風]~충허경[沖虛經]~충헌[忠獻]~충화기[冲和氣]~췌췌[惴惴] (0) | 2021.05.19 |
충여사[蟲與沙]~충여흔[虫餘痕]~충우자기[衝牛紫氣]~충인[充蚓]~충조[蟲雕]~충충[忡忡] (0) | 2021.05.19 |
충막[沖漠]~충명일[种明逸]~충민촉[忠愍燭]~충비서간[蟲臂鼠肝] (0) | 2021.05.19 |
충거[衝車]~충곡[蟲鵠]~충국둔종[充國屯種]~충동한우[充棟汗牛]~충려가경[充閭佳慶] (0) | 2021.05.19 |
출연[怵然]~출입사촌간[出入四寸間]~출장입상[出將入相]~출처행장[出處行藏]~출체[黜遞] (0) | 2021.05.19 |
출면사[出麪桫]~출새가[出塞歌]~출새곡[出塞曲]~출새삼신[出塞三臣] (0) | 2021.05.19 |
출가[出家]~출견인도녀[出見闉闍女]~출경입필[出警入蹕]~출곡천교[出谷遷喬]~출과회음[出跨淮陰] (0) | 2021.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