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최보순[崔甫淳] 고려때 사람. 벼슬은 판이부사(判吏部事)에 이르렀고 시호는 문정(文定)이다.
❏ 최북[崔北] 영조(英祖) 때의 화가(畫家). 자는 성기(聖器)·유용(有用), 호는 성재(星齋)·기암(箕庵)·거기재(居其齋)·삼기재(三奇齋)·호생관(毫生館), 본관은 무주(茂朱)인데, 그의 이름자인 북(北)자를 파자(破字)하여 최칠칠(崔七七)로 불렸다 한다.
❏ 최시우[催詩雨] 두보(杜甫)의 시에 “조각 구름이 머리 위에 모여드니[片雲頭上黑] 알겠노라 비로 시를 재촉하려는 줄을[知是雨催詩]”라고 하였다.
❏ 최식[崔寔] 후한(後漢) 때 사람. 자는 자진(子眞). 환제(桓帝) 때 낭(郞)이 되어 당시 시행하여야 될 수십 조를 적은 정론(政論)을 바쳤다.
❏ 최언명[崔彦明] 언명은 최황(崔滉)의 자이다.
❏ 최융[崔融] 최융은 당 나라 문장가로 자는 안성(安城)이었는데, 문장이 뛰어나 봉각 사인(鳳閣舍人)으로 있으면서 조정의 중요한 문자를 모두 다루었다. <新唐書 李賀傳·崔融傳>
❏ 최자겸[崔子謙] 자겸(子謙)은 최명길(崔鳴吉)의 자(字)이다.
❏ 최자적[崔子迪] 자적(子迪)은 최명길(崔鳴吉)의 동생 혜길(惠吉)의 자(字)이다.
❏ 최장[催粧] 최장은 장가드는 것을 이른다. 몽화록(夢華錄)에 “무릇 장가들 때에는 혼인 하루 앞서 신부에게 단장을 재촉하는 뜻으로 관피(冠帔)와 화분(花盆)을 보낸다.” 하였다. 그리고 당 나라 사람이 성혼하는 저녁에는 최장시가 있으므로 육창(陸敞)이 운안공주(雲安公主)를 위하여 최장시를 지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녀추[醜女醜]~추란[秋蘭]~추량[鶖梁]~추령[芻靈]~추로향[鄒魯鄕] (0) | 2021.05.16 |
---|---|
추곡례[推轂禮]~추구[蒭狗]~추국[推鞠]~추극[樞極]~추기[樞機]~추기급인[推己及人] (0) | 2021.05.16 |
추[貙]~추[諏]~추강일필련[秋江一匹練]~추계[魋髻]~추고마비[秋高馬肥] (0) | 2021.05.16 |
최해[崔瀣]~최해주[崔海州]~최호[崔顥]~최호음청천[崔灝吟晴川]~최화과갈고[催花過羯鼓] (0) | 2021.05.13 |
최저[崔杼]~최제수인[榱題數仞]~최중령[崔中令]~최최[崔崔] (0) | 2021.05.13 |
최갈고[催羯鼓]~최관국수[崔瓘之麵]~최귀[催歸]~최기옥루[催記玉樓]~최로화벌[崔盧華閥] (0) | 2021.05.13 |
총작봉전[叢雀逢鸇]~총잠[葱岑]~총저격장가[寵姐隔障歌]~총전잠교헌[冢巓岑嶠巘]~총총[悤悤] (0) | 2021.05.13 |
총사[叢祠]~총성해[葱成薤]~총수[蔥秀]~총수산[蔥秀山]~총아[蔥芽] ~총융사[摠戎使] (0) | 2021.05.13 |
총마[驄馬]~총마계축[驄馬契軸]~총마어사[驄馬御史]~총박조[叢薄照]~총부[冢婦] (0) | 2021.05.13 |
총감의[摠堪疑]~총계소산사[叢桂小山詞]~총관[叢灌]~총기[塚起]~총령진전[葱嶺眞詮]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