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총마[驄馬] 청백색의 말을 총마라 한다.
❏ 총마[驄馬] 총마는 총이말인데, 후한(後漢) 때 시어사(侍御史) 환전(桓典)이 항상 이 총마를 타고 다녔던 데서 법관이 탄 말을 비유하기도 한다. 후한 환전이 시어사가 된 뒤 늘 총마를 타고 다니며 엄하게 법을 집행했으므로 “총마어사(驄馬御史)가 온다. 꼭꼭 숨어라.”라는 말이 유행했다고 한다. <後漢書 桓典傳>
❏ 총마계축[驄馬契軸] 사헌부(司憲府)의 계축(契軸)을 뜻한다. 후한(後漢) 때 환전(桓典)이 시어사(侍御史)로 있으면서 항상 총마(驄馬)를 타고 다녔던 데서 온 말인데, 환전이 매우 엄정(嚴正)하였으므로, 당시 간소배들이 항상 총마어사를 기피했다고 한다. <後漢書 卷三十七>
❏ 총마어사[驄馬御史] 백관(百官)을 규찰(糾察)하는 어사대(御史臺), 즉 사헌부의 관원을 가리킨다. 동한(東漢)의 환전(桓典)이 시어사(侍御史)에 임명된 뒤 권귀(權貴)를 두려워하지 않고 가차없이 법대로 처리하였으므로, 그가 총마(驄馬)를 타고 거리에 나타나면 사람들이 “총마 어사님 나오신다 길을 비켜라.[避驄馬御史]”라고 말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卷37 桓榮傳 附 桓典傳>
❏ 총마어사[驄馬御使] 총마어사는 후한 때의 환전(桓典)을 가리킨다. 환전은 어사가 되어 항상 총마를 타고 다녔는데, 그는 성품이 엄정하여 용사(用事)하는 간인(奸人)들을 마구 탄핵하였으므로, 간인들이 항상 그를 두려워하여 피하면서 ‘총마어사’라고 일컬었던 데서 온 말이다.
❏ 총매[叢梅] 군락을 이룬 매화 덤불.
❏ 총박조[叢薄照] 엷은 볕이 모이다.
❏ 총부[冢婦] 적장자(嫡長子)의 아내를 말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저[崔杼]~최제수인[榱題數仞]~최중령[崔中令]~최최[崔崔] (0) | 2021.05.13 |
---|---|
최보순[崔甫淳]~최북[崔北]~최시우[催詩雨]~최식[崔寔]~최융[崔融]~최장[催粧] (0) | 2021.05.13 |
최갈고[催羯鼓]~최관국수[崔瓘之麵]~최귀[催歸]~최기옥루[催記玉樓]~최로화벌[崔盧華閥] (0) | 2021.05.13 |
총작봉전[叢雀逢鸇]~총잠[葱岑]~총저격장가[寵姐隔障歌]~총전잠교헌[冢巓岑嶠巘]~총총[悤悤] (0) | 2021.05.13 |
총사[叢祠]~총성해[葱成薤]~총수[蔥秀]~총수산[蔥秀山]~총아[蔥芽] ~총융사[摠戎使] (0) | 2021.05.13 |
총감의[摠堪疑]~총계소산사[叢桂小山詞]~총관[叢灌]~총기[塚起]~총령진전[葱嶺眞詮] (0) | 2021.05.13 |
촌연당[寸筵撞]~촌조동[㸑竈桐]~촌철살인[寸鐵殺人]~촌초심[寸草心]~촌하득재[㸑下得材] (0) | 2021.05.13 |
촌교구탁류[寸膠救濁流]~촌교징하[寸膠澄河]~촌사[村社]~촌숙도도[村塾都都] (0) | 2021.05.13 |
촉전[蜀牋]~촉정[蜀丁]~촉제화[蜀帝花]~촉좌[蜀髽]~촉직[促織]~촉촉[促促] (0) | 2021.05.13 |
촉사통도[蜀士通道]~촉시[蜀枲]~촉여만[觸與蠻]~촉잠삼면[蜀蠶三眠]~촉쟁만[觸爭蠻]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