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최가사훈[崔家司勳] 당(唐) 나라 때의 시인(詩人)으로 사훈원외랑(司勳員外郞)을 지냈던 최호(崔顥)를 가리킨다.
❏ 최갈고[催羯鼓] 당명황(唐明皇)이 갈고(羯鼓) 치기를 좋아하였는데 봄에 궁중에서 갈고를 두드리니 봉오리만 맺혔던 꽃이 활짝 피었다.
❏ 최고운[崔孤雲] 신라(新羅) 말엽의 유학자인 최치원(崔致遠)을 말한다. 고운은 그의 호이다.
❏ 최관국수[崔瓘之麵] 광해조에 이충이란 자는 잡채로써, 최관이란 자는 국수로써 광해군에게 때마다 진상하여 아부함으로써 높은 벼슬을 얻게 되자 당시 사람들이 기롱하여 부른 말이다.
❏ 최귀[催歸] 자규(子規)의 일명(一名). 울음소리가 마치 불여귀(不如歸)라는 말처럼 들린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최귀를 글자로 풀이하면 돌아가기를 재촉한다는 뜻이 되므로 이렇게 인용한 것이다.
❏ 최기[崔琦] 후한(後漢) 사람으로 자는 자위(子瑋). 문장이 뛰어나 외척잠(外戚箴)·백곡부(白鵠賦) 등을 지었다. <後漢書 崔琦傳>
❏ 최기옥루[催記玉樓] 당(唐) 나라 이하(李賀)에게 낮에 어떤 붉은 옷 입은 사람이 와서 “옥황상제가 백옥루(白玉樓)를 지었는데 당장 그대를 불러 기문을 지으려 한다.” 하더니, 이하가 곧 죽었다.
❏ 최노[崔盧] 최씨(崔氏)와 노씨(盧氏). 두 성씨가 다 육조(六朝) 시대부터 당(唐)에 이르기까지의 망족(望族)이었다. <舊唐書 竇威傳>
❏ 최대립[崔大立] 자는 수부(秀夫), 호는 창애(蒼厓) 또는 균담(筠潭). 역관이다. 시집 한 권이 전한다.
❏ 최로화벌[崔盧華閥] 육조(六朝) 시대와 당(唐) 나라 때에 최씨·노씨 두 성씨가 명문(名門)으로 일컬어진 데서 온 말이다.
❏ 최리[崔李] 최리는 당 나라 때의 시인인 최융(崔融)과 이교(李嶠)를 가리킨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곡례[推轂禮]~추구[蒭狗]~추국[推鞠]~추극[樞極]~추기[樞機]~추기급인[推己及人] (0) | 2021.05.16 |
---|---|
추[貙]~추[諏]~추강일필련[秋江一匹練]~추계[魋髻]~추고마비[秋高馬肥] (0) | 2021.05.16 |
최해[崔瀣]~최해주[崔海州]~최호[崔顥]~최호음청천[崔灝吟晴川]~최화과갈고[催花過羯鼓] (0) | 2021.05.13 |
최저[崔杼]~최제수인[榱題數仞]~최중령[崔中令]~최최[崔崔] (0) | 2021.05.13 |
최보순[崔甫淳]~최북[崔北]~최시우[催詩雨]~최식[崔寔]~최융[崔融]~최장[催粧] (0) | 2021.05.13 |
총작봉전[叢雀逢鸇]~총잠[葱岑]~총저격장가[寵姐隔障歌]~총전잠교헌[冢巓岑嶠巘]~총총[悤悤] (0) | 2021.05.13 |
총사[叢祠]~총성해[葱成薤]~총수[蔥秀]~총수산[蔥秀山]~총아[蔥芽] ~총융사[摠戎使] (0) | 2021.05.13 |
총마[驄馬]~총마계축[驄馬契軸]~총마어사[驄馬御史]~총박조[叢薄照]~총부[冢婦] (0) | 2021.05.13 |
총감의[摠堪疑]~총계소산사[叢桂小山詞]~총관[叢灌]~총기[塚起]~총령진전[葱嶺眞詮] (0) | 2021.05.13 |
촌연당[寸筵撞]~촌조동[㸑竈桐]~촌철살인[寸鐵殺人]~촌초심[寸草心]~촌하득재[㸑下得材] (0) | 2021.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