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좌주[座主] 은문(恩門)이라고도 하는데, 고려 때 국자감 시험에 합격한 자가 자기를 과거에 합격시킨 시관(試官)을 일컫는 말로, 평생 문생(門生)의 예를 다하였다.
❏ 좌주수양[左肘垂楊] 장자(莊子) 지락(至樂)에 “얼마 뒤 골개숙(滑介叔)의 왼쪽 팔에 버드나무 가지가 나왔다.[俄而柳生其左肘]”는 말이 있는데, 부스럼 혹은 혹이 생겼다는 풀이와 노쇠하여 죽음에 이르는 상서롭지 못한 징조 등으로 풀이하는 등 여러 가지 주석이 있다.
❏ 좌지우지[左之右之] 제 마음대로 자유롭게 처리한다. 어떤 일이나 사람을 마음대로 지휘한다.
❏ 좌참[左驂] 왼쪽 말.
❏ 좌척우평[左墄右平] 반고(班固)의 서도부(西都賦)에 “左墄右平”이라는 구가 있는데 그 주(注)에 척이란 것은 폐(陛)의 계단이요, 평은 문전(文塼)이 서로 아차(亞次)하게 놓였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좌충우돌[左衝右突] 왼쪽으로 부딪치고 오른쪽으로 부딪침. 이리저리 마구 치고 받음 또는 분별없이 아무에게나 함부로 맞닥뜨림을 말한다.
❏ 좌태충[左太冲] 태충은 진(晉) 나라 시인 좌사(左思)의 자(字). 그는 사부(詞賦)에 능했으며, 대표작으로는 제도부(齊都賦)와 삼도부(三都賦)가 유명하다. <晉書左思傳>
❏ 좌해주첨상불취[左海籌添桑拂翠] 장수(長壽)를 비는 말. 동파노림(東坡老林)에 “세 노인이 서로 만나 나이를 물으니 한 노인이 말하기를 ‘바다가 상전(桑田)으로 변할 때마다 나는 산가지를 하나씩 놓았는데 지금 10개가 된다.’고 하였다.”라고 한 데서 나온 것이다.
❏ 좌현왕[左賢王] 흉노(匈奴)의 귀족(貴族) 가운데 가장 높은 지위로서 항상 태자(太子)나 혹은 선우(單于)의 후계자가 될 사람에게 봉해주는 봉호(封號)이다.
❏ 좌혈관녕상[坐穴管寧床] 관녕은 한말(漢末)의 명사(名士)로 그가 요동에 살면서 수십 년을 한 평상에 꿇어앉아 글을 읽어 무릎 닿은 상이 다 뚫어졌다.
❏ 좌화승[坐化僧] 승려가 단정히 앉아 열반에 든 것 같은 바위 모습을 가리킨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관육익[周官六翼]~주구[誅求]~주구[誅求]~주구무사설[州鳩無射說] (0) | 2020.09.26 |
---|---|
주공[周公]~주공몽견[周公夢見]~주공삼태[周公三笞]~주공하재[周公遐哉] (0) | 2020.09.26 |
주검[舟劍]~주경[酒經]~주경투암[珠驚投暗]~주고재재[酒誥梓材] (0) | 2020.09.26 |
주객[珠客]~주객도[主客圖]~주거양자택[酒車楊子宅]~주거제로[邾莒齊魯] (0) | 2020.09.26 |
주가[朱家]~주가[註家]~주가[朱柯]~주가도부도[周家陶復陶] (0) | 2020.09.26 |
좌우명[座右銘]~좌은[坐隱]~좌임[左袵]~좌전[左傳]~좌조우사[左祖右社] (0) | 2020.09.26 |
좌소[坐嘯]~좌승양대[左丞涼臺]~좌씨화[左氏禍]~좌어부[左魚符] (0) | 2020.09.26 |
좌사[左史]~좌사[左思]~좌상객[座上客]~좌상춘[座上春]~좌서공[坐書空] (0) | 2020.09.26 |
좌마[左馬]~좌망[坐忘]~좌발[髽髮]~좌보명주[左輔名州]~좌불수당[坐不垂堂] (0) | 2020.09.25 |
좌대신[坐待晨]~좌도소[左徒騷]~좌도편[左徒篇]~좌두[莝豆]~좌리[座梨] (0) | 2020.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