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좌사[左史] 주(周) 나라 때의 사관(史官)에 좌사와 우사가 있었는바, 사관을 가리킨다. 좌사와 우사(右史)는 각각 언론과 행위의 기록을 맡았었는데, 나중에 기거랑(起居郞)과 기거사인(起居舍人)으로 바뀌었다.
❏ 좌사[佐史] 한나라 때 지방장관의 군청과 현청의 각종 사무를 처리했다. 군과 현의 속관으로 녹봉이 100석에 못 미치는 한나라 때 가장 직급이 낮은 관리였다.
❏ 좌사[左思] 진(晉) 나라 임치(臨淄) 사람으로 자는 태충(太沖)이다. 사조(辭藻)가 워낙 뛰어났었다. 박학능문(博學能文)하여 촉도(蜀都)·오도(吳都)·위도(魏都)에 대한 삼도부(三都賦)를 지었으며 그의 시에 “山水有淸音”이라는 글귀가 있다. <晉書 左思傳>
❏ 좌사군룡세갑병[坐使群龍洗甲兵] 두보(杜甫)의 병거행(兵車行)에 “어떻게 하면 장사(壯士)를 시켜 은하수(銀河水)의 물을 당겨 갑옷과 칼날을 깨끗이 씻어 영원히 쓰지 않게 할꼬.”라고 하였다. 군룡(群龍)은 비를 내리는 용을 말한 것이다.
❏ 좌상객[座上客] 후한(後漢)의 공융(孔融)이 후진(後進)들을 잘 이끌어 주었으므로, 한직(閑職)에 물러나 있을 때에도 늘 빈객이 끊이지 않았는데, 공융이 이에 “늘상 좌상객이 집안에 가득하고, 술동이에 술이 떨어지지만 않는다면, 내가 걱정할 것이 뭐가 있으랴.[坐上客恒滿 樽中酒不空 吾無憂矣]”라고 했던 고사가 있다. <蒙求 下 孔融坐滿>
❏ 좌상춘[座上春] 상대방의 덕을 미화하는 말로, 덕이 봄날처럼 온화하다는 뜻이다.
❏ 좌서공[坐書空] 진(晉) 나라 은호(殷浩)가 파면되자 온종일 공중에 글자를 쓰고 앉아 있었는데, 누가 엿보니, ‘돌돌괴사(咄咄怪事)’ 넉 자만 자꾸 쓸 뿐이었다.
❏ 좌서장[左庶長] 진나라 관직의 명칭. 진나라의 관직은 모두 20 등급으로 나뉘었는데 좌서장은 그 중 10등급의 직위로써 군사의 일을 관장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객[珠客]~주객도[主客圖]~주거양자택[酒車楊子宅]~주거제로[邾莒齊魯] (0) | 2020.09.26 |
---|---|
주가[朱家]~주가[註家]~주가[朱柯]~주가도부도[周家陶復陶] (0) | 2020.09.26 |
좌주[座主]~좌주수양[左肘垂楊]~좌척우평[左墄右平]~좌해주첨상불취[左海籌添桑拂翠] (0) | 2020.09.26 |
좌우명[座右銘]~좌은[坐隱]~좌임[左袵]~좌전[左傳]~좌조우사[左祖右社] (0) | 2020.09.26 |
좌소[坐嘯]~좌승양대[左丞涼臺]~좌씨화[左氏禍]~좌어부[左魚符] (0) | 2020.09.26 |
좌마[左馬]~좌망[坐忘]~좌발[髽髮]~좌보명주[左輔名州]~좌불수당[坐不垂堂] (0) | 2020.09.25 |
좌대신[坐待晨]~좌도소[左徒騷]~좌도편[左徒篇]~좌두[莝豆]~좌리[座梨] (0) | 2020.09.25 |
좌각[左角]~좌간[坐慳]~좌견우방[左牽右防]~좌관천리[坐觀千里]~좌구[左丘] (0) | 2020.09.25 |
종파도[宗派圖]~종편거처[從便居處]~종혜[椶鞵]~종회[鍾會]~종횡가[縱橫家] (0) | 2020.09.25 |
종주[宗周]~종죽의속[種竹醫俗]~종출[種秫]~종출흥[種秫興]~종치장후등[種致將侯等] (0) | 2020.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