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주각우금한호씨[注脚于今恨胡氏] 호씨(胡氏)의 주석이란 곧 송() 나라 호안국(胡安國)의 춘추전(春秋傳)을 말하는데, 호안국의 춘추전에서는 특히 난신적자(亂臣賊子)에 대하여 매우 엄격히 처벌할 것을 강조하였다.

주객[珠客] 연객(淵客), 즉 수중(水中)에 사는 교인(鮫人)이 인가(人家)에 와서 같이 살다가 주인과 헤어질 적에 슬피 울어 구슬 눈물을 흘려서 주인에게 주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고기잡이하는 사람들을 비유하기도 한다.

주객도[主客圖] 당시기사(唐詩紀事)장위(張爲)가 시인주객도(詩人主客圖)를 만들었는데 그 서()以白居易爲廣大敎化主 孟雲卿爲高古奧逸主 李益爲淸奇雅正主 孟郊爲淸奇僻苦主 鮑溶爲博解宏拔主 武元衡爲瑰奇美麗主 客附以上入室 入室升堂及門若而人焉이라 하였다.

주객일체[主客一體] 주인과 손이 한 몸이라는 데서, 나와 나 밖의 대상이 하나가 됨을 말한다.

주객전도[主客顚倒] 주인과 손님이 뒤바뀜. 주인은 손님처럼 손님은 주인처럼 각각 행동을 바꾸어 한다는 것으로 입장이 뒤바뀐 것을 나타낸다. , 주가 되는 것과 부차적인 것이 뒤바뀌었다는 뜻으로, 사물의 선후(先後), 완급(緩急), 경중(輕重)이 서로 뒤바뀜, 또는 일의 일반적인 경우가 뒤바뀜을 이른다. 객반위주(客反爲主).

주거[邾莒] 춘추 시대 때의 두 나라로, 아주 작은 나라를 뜻한다.

주거양자택[酒車楊子宅] 양웅(揚雄)이 현정에서 글을 저술하고 있었는데 사람들이 가끔 술을 싣고 찾아와 기자(奇字)를 물었다.

주거제로[邾莒齊魯] 물고기는 싫다 하고 양고기를 찾는다는 뜻.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 성남정각사(城南正覺寺)왕숙(王肅)이 고조(高祖)와 함께 대궐에서의 연회에 참석하였는데, 왕숙이 양고기를 많이 먹으므로 괴이하게 여겨 양고기와 물고기 중 어느 것이 맛있는가?’라고 하니, 왕숙이 양을 큰 제() 나라와 노() 나라에 비긴다면 물고기는 작은 주() 나라와 거() 나라에 비길 수 있는데, 저는 양고기를 좋아합니다.’라고 했다.”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