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적전[赤箭] 수자해좃의 어린 뿌리. 한방(漢方)에서 강장제로 사용한다.
❏ 적전[籍田] 적전(籍田)은 임금이 친히 농사를 지어 종묘에 제사지낼 쌀을 수확하고 백성에게 농사를 권하는 것인데, 임금이 몸소 따비로 세 번 밀어서 갈아 보는 것이다.
❏ 적전청지[赤箭靑芝] 적전은 지초(芝草)의 유로 영약인데 줄기가 화살대처럼 생기고 적색이다. 청지도 영약이다.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에 “赤箭靑芝牛溲馬勃敗鼓之皮 俱收竝蓄 待用無遺者 醫師之良也”라 하였다.
❏ 적제[狄鞮] 적제는 통역(通譯)이라는 뜻이다. 상고 때 서쪽 외국의 통역을 맡은 통역관의 칭호. 곧 외국을 뜻한다.
❏ 적제[赤帝] 한(漢) 고조(高祖)인 유방(劉邦)을 가리킨다. 한 고조 유방이 적제(赤帝)의 아들로 된 것은 야행(夜行) 중에 흰 뱀[백제(白帝)의 아들]을 죽인 이야기 때문이다. 사기(史記) 고조본기(高祖本紀)에 나와 있다.
❏ 적제자[赤帝子] 한 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을 말한다. 적제는 남방(南方)의 신(神)인데 한(漢)은 화덕(火德)으로 왕 노릇하여 적색(赤色)을 숭상하였으므로 말한다. 유방이 술이 취하여 밤에 택중(澤中)을 지나다가 칼을 뽑아 뱀을 베었는데 뒤에 온 사람이 그곳에 이르니 노구(老嫗)가 울면서 “내 아들은 백제(白帝)의 아들인데 뱀이 되어 길에 나왔다가 적제(赤帝)의 아들에게 베어졌다.”라고 하였다. <史記 高祖本紀>
❏ 적제적룡[赤帝赤龍] 더위를 말한다. 적색(赤色)은 여름의 색깔이므로 여름을 맡은 신을 적제라 하며, 적룡(赤龍)은 적색의 용으로서 불[火]을 뜻한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경곤루의[鱣鯨困螻蟻]~전계[前溪]~전계삼출[展季三黜]~전곤[轉坤] (0) | 2020.09.15 |
---|---|
전거가감[前車可鑑]~전거지감[前車之鑑]~전거후공[前倨後恭]~전겸모[典兼謨] (0) | 2020.09.15 |
전감[傳柑]~전감절[傳柑節]~전갱[籛鏗]~전거[轉車]~전거[前車] (0) | 2020.09.15 |
적표[赤豹]~적하편[擿瑕編]~적홀일상[積笏一床]~적환공[赤鯇公] (0) | 2020.09.15 |
적조[寂照]~적천신[積千薪]~적초어[赤梢魚]~적치[赤幟]~적토청룡[赤兎靑龍] (0) | 2020.09.15 |
적자[摘髭]~적자용사[赤子龍蛇]~적적[浟浟]~적적[滴滴] (0) | 2020.09.15 |
적우침주[積羽沈舟]~적위[赤尉]~적일비홍[迹一飛鴻]~적잉함[籍仍咸] (0) | 2020.09.14 |
적신탄[積薪歎]~적안[赤岸]~적야랑[謫夜郞]~적연부동[寂然不動] (0) | 2020.09.14 |
적수공권[赤手空拳]~적수성연[積水成淵]~적수주[赤水珠]~적신[積薪] (0) | 2020.09.14 |
적소[積蘇]~적송반[赤松飯]~적송유[赤松遊]~적송자[赤松子] (0) | 2020.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