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적소[積蘇] 땔나무를 쌓은 것으로 보잘것없는 사물을 비유한다. 열자(列子) 주목왕(周穆王)에 “그 궁궐과 정자가 흙덩이를 쌓고 땔나무를 쌓음과 같다.[其宮榭若累塊積蘇]”고 하였다. 목재로 지은 높은 누각을 형용하는 말이다.
❏ 적소성다[積小成多] 적은 것도 모으면 많아진다는 뜻이다. 티끌 모아 태산. 麈合泰山, 積小成大, 積土成山, 十匙一飯.
❏ 적송[赤松] 적송자. 신농시(神農時)의 우사. 수옥(水玉)을 입었다 한다.
❏ 적송반[赤松飯] 신선이 먹는 붉은 소나무의 솔씨를 말한다. 유향(劉向)의 열선전(列仙傳)에 “옛날 악전(偓佺)이란 사람은 약을 캐는 사람이었는데 솔씨를 즐겨 먹었더니 몸에 털이 나고 날아다녔으며, 그에게서 솔씨를 얻어먹은 사람들도 모두 3백 살을 살았다.”고 하였다.
❏ 적송유[赤松遊] 적송자는 신선인데 한(漢) 나라 장량(張良)이 “인간 일을 버리고 적송자를 좇아 놀고자 한다.”고 하였다. <漢書 張良傳>
❏ 적송자[赤松子] 상고 시대의 신선 이름으로, 여러 서책에 나오는 사적(事蹟)이 서로 다르다. 적송자(赤誦子), 적자여(赤子輿)라고도 한다. 사기(史記) 유후세가(留侯世家)에 “장량(張良)이 ‘이제 세 치의 혀로써 제왕의 스승이 되어 만호(萬戶)를 봉받고 지위가 열후에 올랐으니, 이는 포의(布衣)의 영광이 극에 이르렀다. 나는 이에 만족할 뿐이고, 다만 원하는 바는 인간의 일을 버리고 적송자(赤松子)를 따라 노는 것이다.’하였다.” 하였다.
❏ 적송자[赤松子] 적송자(赤誦子)라고도 한다. 좌성남극남악진인(左聖南極南嶽真人) 좌선태허진인(左仙太虛真人)으로 불린다. 진한시대의 전설상의 신선 이름이다. 태평환우기(太平寰宇記)에 ‘적송자는 금화산(金華山)에 살다가 스스로 몸을 태워 신선이 되어 적송간(赤松澗)에서 하늘로 올라갔다’고 했다. 후한이 유향(劉向)이 지은 열선전(列仙傳)에 적송자는 원래 신화상의 염제(炎帝) 신농(神農) 때 사람으로 우사(雨師)였다고 했다. 음식으로 물을 먹고 옥으로 옷을 해 입은 적송자는 신농에게 능히 타오르는 화염 속에서 견디는 방법을 일러주었다. 적송자는 항상 곤륜산 꼭대기로 날아가 서왕모가 사는 석실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바람과 구름을 타고 자유롭게 오르내리곤 했다. 염제에게 어린 딸이 있었는데 일찍이 그를 따라나서서 그녀 역시 선녀가 되어 하늘로 올라갔다고 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전청지[赤箭靑芝]~적제[狄鞮]~적제[赤帝]~적제적룡[赤帝赤龍] (0) | 2020.09.15 |
---|---|
적자[摘髭]~적자용사[赤子龍蛇]~적적[浟浟]~적적[滴滴] (0) | 2020.09.15 |
적우침주[積羽沈舟]~적위[赤尉]~적일비홍[迹一飛鴻]~적잉함[籍仍咸] (0) | 2020.09.14 |
적신탄[積薪歎]~적안[赤岸]~적야랑[謫夜郞]~적연부동[寂然不動] (0) | 2020.09.14 |
적수공권[赤手空拳]~적수성연[積水成淵]~적수주[赤水珠]~적신[積薪] (0) | 2020.09.14 |
적성산[赤城山]~적성표[赤城標]~적성하색[赤城霞色] (0) | 2020.09.14 |
적선[謫仙]~적선천상인[謫仙天上人]~적성[赤城] (0) | 2020.09.14 |
적상환긍저약롱[狄相還肯貯藥籠]~적석[赤舃]~적석하표준[赤石霞標峻] (0) | 2020.09.14 |
적벽유[赤壁遊]~적복부[赤伏符]~적불[翟茀]~적사한장건적[跡似漢張騫跡] (0) | 2020.09.13 |
적반하장[賊反荷杖]~적백낭[赤白囊]~적백환[赤白丸]~적벽대전[赤壁大戰] (0) | 2020.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