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재죽이생손[裁竹已生孫] 대나무 뿌리에서 다시 옆으로 뻗어나온 작은 대나무를 죽손(竹孫)이라 하는데, 여기에서 자손의 뜻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참고로 소동파(蘇東坡)의 시 가운데 야자수는 자식을 낳고 대나무는 손자 보았도다.[檳榔生子竹生孫]”라는 구절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43 庚辰歲人日作 時聞黃河已復北流 老臣舊數論此 今斯言乃驗>

재진[在陳] 공자가 진에 있으면서 말씀하시되 내 무리의 애들이 광간하여 번쩍하게 무늬를 이루나 마를 줄을 모르는도다.[子在陳曰 吾黨之小子狂簡 斐然成章 不知的以裁之]”라고 하였다.<論語 公冶長> 공자가 천하를 주유하여 이름을 날리고도 문인들이 아직 미숙함을 걱정하여 돌아가 시서·예악을 정리, 술작할 뜻을 가지고 한 말이다.

재진절립[在陳絶粒] 공자(孔子)가 진(()에서 양식이 떨어져 군색함을 당했던 일을 말한다. <論語 衛靈公>

재진지액[在陳之厄] 아주 빈핍하여 양식이 떨어진 것을 비유한 말이다. 공자(孔子)가 진채(陳蔡)에 있을 때 양식이 떨어져 액운을 겪었기 때문에 이름이다. <論語 衛靈公>

재최복[齋衰服] 굵은 삼베로 짓고 단을 꿰맨 상복을 입고 오동나무나 버드나무로 만든 지팡이를 짚는다. 입는 기간은 만 2, 24개월이다. 주로 어머니의 상()에 아들, 며느리, 딸이 입는다.

재향지변간욕봉[再向池邊看浴鳳] 두 번 한림(翰林)으로 재직했음을 뜻한다.

쟁산[崢山] 높은 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