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장실망언시법문[丈室忘言是法門] 유마 거사가 대승 보살들 앞에서 시현(示現)한 중도(中道)의 불이법문(不二法門)을 말한다. 유마경(維摩經) 입불이법문품(入不二法門品)無有文字語言 是眞不二法門也라 하였다.

장실봉산[藏室蓬山] 모두 장서실을 가리킴. 후한 때 장서실인 동관(東觀)을 가리켜 노씨장실(老氏藏室도가봉래산(道家蓬萊山)이라 일컬은 데서 온 말인데, 즉 노씨장실은 옛날 노자(老子)가 장실주하사(藏室柱下史)를 지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도가봉래산은 곧 봉래산의 선부(仙府)에는 유경 비록(幽經祕錄)이 다 쟁여져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後漢書 卷二十三>

장심[漳潯] 유정의 시에 내가 고질병에 모질게 걸려들어, 맑은 장수 물가에 숨어서 살았노라.[余嬰沈痼疾 竄身淸漳濱]”라는 구절이 있는데, 문인의 병을 일컬을 때 흔히 공간병(公幹病)’이 거론된다.

장심문[將心問] 달마조사(達摩祖師)가 소실산(少室山)에 있을 때에 혜가(惠可)가 와서 마음이 불안하니 편안케 하여 주소서.”라 하고 물은즉, 달마(達摩)마음을 가져오너라. 너를 안심시켜주마.[將心來與汝安]”라고 하였다.

장씨지족[張氏知足] 장량(張良)이 한() 나라 고조(高祖)를 도와 천하를 평정하고 유후(留侯)로 봉해졌으나, 만년에 즐겨 신선 벽곡(辟穀)의 술을 배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