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장수마[莊叟馬] 장자(莊子)에 “나의 엉덩이는 수레바퀴로 변화하고 나의 정신[神]은 말[馬]로 변화한다.”라고 하였다.
❏ 장수선무 다전선고[長袖善舞多錢善賈] 조건이 좋은 사람이 성공하기도 쉽다.
❏ 장수선무[長袖善舞] 긴 소매는 춤을 잘 춘다. 어떤 일을 함에 있어서도 조건이 좋은 사람이 유리하다.
❏ 장수양[張睢陽] 당(唐) 나라 때 장순(張巡)을 가리킨다. 장순이 수양성(睢陽城)을 지키면서 안녹산(安祿山)의 군대와 싸웠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 장수유[莊叟柳] 장수는 곧 장주(莊周)를 말하는데, 장자(莊子) 지락(至樂)에 이 혹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 장수유식[藏修游息] 장수는 항상 게을리함이 없이 학문을 수습(修習)하는 것을 말하고, 유식은 정과(正課) 이외의 휴식 시간에도 항상 학문에 마음을 두는 것을 말한다. <禮記 樂記>
❏ 장수충비[莊叟蟲臂] 장수는 곧 장주(莊周)를 가리키는데,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자래(子來)가 병이 들어 죽게 되자, 자려(子犁)가 문병가서 자래에게 말하기를 ‘조화옹(造化翁)은 자네를 또 무엇으로 만들려는고? 자네를 장차 쥐의 간으로 만들려는가, 아니면 벌레의 팔로 만들려는가?’고 했다.”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즉 만물의 타고난 형체가 아무리 미세한 것이라도 모두 제 역할이 있음을 의미한 말이다.
❏ 장숙야[張叔夜] 자는 계중(稽仲)이며 북송 개봉(開封 지금의 하남) 사람이다. 송사·장숙야열전(宋史張叔夜列傳)의 기록에 의하면, 장숙야가 다시 해주지사가 되었을 때 일찍이 계책을 세워 “그 부적을 잡으면 송강은 곧 투항할 것이다.[擒其副賊, 江(宋江)乃降.]”라고 하였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양궁[長楊宮]~장양부[長楊賦]~장양왕[莊襄王]~장양헌부옹[長楊獻賦翁] (0) | 2020.09.09 |
---|---|
장안십일니[長安十日泥]~장안총죽[長安叢竹]~장야유천이운주[長夜幽泉已隕珠] (0) | 2020.09.09 |
장악[莊嶽]~장안교환[長安巧宦]~장안미[長安米]~장안세[張安世] (0) | 2020.09.09 |
장실봉산[藏室蓬山]~장심[漳潯]~장심문[將心問]~장씨지족[張氏知足] (0) | 2020.09.09 |
장순[張巡]~장순원[張順院]~장신[臟神]~장신초[長信草]~장실[丈室] (0) | 2020.09.09 |
장송풍일[長松風日]~장수[張䇓]~장수[漳水]~장수[藏脩]~장수동[張瘦銅] (0) | 2020.09.08 |
장성태백[長星太白]~장소[張昭]~장소[長嘯]~장송탁여라[長松托女蘿] (0) | 2020.09.08 |
장석운근[匠石運斤]~장석음[莊舃吟]~장성계운[長星繼隕]~장성괴[長城壞] (0) | 2020.09.08 |
장서[葬書]~장서선[掌書仙]~장석[丈席]~장석[匠石]~장석병[莊舃病] (0) | 2020.09.08 |
장생전[長生殿]~장생춘[莊生椿]~장생해수[張生解綬]~장생허주[莊生虛舟] (0) | 2020.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