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장성만리[長城萬里] 송나라 명장(名將) 단도제(檀道濟)가 참소로 죽임을 당하면서 “너의 만리장성을 무너뜨리는구나.”라고 하였다.
❏ 장성태백[長星太白] 장성은 살별이고 태백성은 샛별인데, 모두 병란(兵亂)을 상징하는 별이다.
❏ 장소[張昭] 삼국 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 사람으로 손권(孫權)의 밑에서 보오장군(輔吳將軍) 등을 지냈는데, 일찍이 손권이 자기의 간언(諫言)을 들어주지 않는 데에 분심을 품고 병을 핑계로 조정에 나가지 않자, 손권 또한 그가 조정에 나오지 않는 것을 원망하여 그의 문(門)을 흙으로 막았더니, 그는 또 그 안에다 흙더미를 더 쌓았다는 고사가 있다.
❏ 장소[張所] 송(宋) 나라 사람. 고종(高宗) 때 감찰어사(監察御史)가 되어 황잠선(黃潛善)과 왕백언(汪伯彦)의 간사함을 탄핵하다가 도리어 강주(江州)로 귀양갔다. 그 뒤 승상 이강(李綱)의 천거로 하북초무사(河北招撫使)가 되자, 장소는 사방의 호걸들을 모아 상실한 국토 수복의 계획을 하였으나, 이강이 승상에서 파직되자 그도 파면되어 영남(嶺南)에 안치, 거기에서 여생을 마쳤다.
❏ 장소[莊騷] 장자(莊子)와 굴원(屈原)의 이소(離騷)를 말한다.
❏ 장소[長嘯] 진(晉) 나라 때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일찍이 소문산(蘇門山)에서 손등(孫登)을 만나 신기(神氣)를 수양하는 방법 등을 물었으나 손등이 모두 응답하지 않자 완적이 길게 휘파람을 불며 물러왔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四十九 阮籍傳>
❏ 장송탁여라[長松托女蘿] 형제와 친척들이 모두 모여 잔치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소나무에 여라(女蘿)가 타고 오른다는 것은 곧 형제 친척이 서로 의지함을 비유한 것으로, 형제 친척이 모여 잔치한 것을 노래한 시경(詩經) 소아(小雅) 기변(頍弁)에 “우뚝한 관이여 그것이 무엇인고, 네 술이 이미 맛 좋고 네 안주가 아름다우니 어찌 다른 사람이리오. 형제이고 다른 사람 아니로다. 조와 여라가 송백에 타고 오르도다.[有頍者弁 實維伊何 爾酒旣旨 爾殽旣嘉 豈伊異人 兄弟匪他 蔦與女蘿 施于松柏]”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악[莊嶽]~장안교환[長安巧宦]~장안미[長安米]~장안세[張安世] (0) | 2020.09.09 |
---|---|
장실봉산[藏室蓬山]~장심[漳潯]~장심문[將心問]~장씨지족[張氏知足] (0) | 2020.09.09 |
장순[張巡]~장순원[張順院]~장신[臟神]~장신초[長信草]~장실[丈室] (0) | 2020.09.09 |
장수선무[長袖善舞]~장수유식[藏修游息]~장수충비[莊叟蟲臂]~장숙야[張叔夜] (0) | 2020.09.08 |
장송풍일[長松風日]~장수[張䇓]~장수[漳水]~장수[藏脩]~장수동[張瘦銅] (0) | 2020.09.08 |
장석운근[匠石運斤]~장석음[莊舃吟]~장성계운[長星繼隕]~장성괴[長城壞] (0) | 2020.09.08 |
장서[葬書]~장서선[掌書仙]~장석[丈席]~장석[匠石]~장석병[莊舃病] (0) | 2020.09.08 |
장생전[長生殿]~장생춘[莊生椿]~장생해수[張生解綬]~장생허주[莊生虛舟] (0) | 2020.09.08 |
장상인[張相印]~장상주[掌上珠]~장생식미[張生識微]~장생월음[莊生越吟] (0) | 2020.09.08 |
장삼영[張三影]~장삼이사[張三李四]~장상군[長桑君]~장상동심[將相同心] (0) | 2020.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