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장상인[張相印] 개원(開元) 11년에 장열(張說)이 상주(上奏)하여 정사당(政事堂)을 고쳐 중서문하(中書門下)라 불렀고, 정사당의 인(印)도 중서문하의 인으로 고쳤는데, 이는 중서문하의 관인(官印)을 가리킨 말이다.
❏ 장상인[張相印] 장상(張相)은 전국 때 진(秦) 장의(張儀)인데, 그가 소진(蘇秦)의 합종(合從)을 깨뜨린 연횡(連衡)의 공으로 상(相)이 되었고, 그가 죽은 뒤에 서수(犀首)가 입상(入相)하여 인(印)을 찼다.
❏ 장상주[掌上珠] 손에 쥔 구슬이라는 뜻으로, 전하여 사랑하는 자식을 가리킨 말이다.
❏ 장생[莊生] 장생은 장자(莊子), 장주(莊周)이다.
❏ 장생곤[莊生鯤] 장생은 전국 시대 장주(莊周)를 가리킨다. 그가 지은 장자(莊子)소요유(逍遙遊)에 “북쪽 바다에 곤어라고 하는 큰 고기가 있는데, 크기가 몇 천 리나 되는지 알 수 없으며 다시 붕새[鵬]로 화하여 9만 리 창공을 난다.”라고 하여 우언(寓言)으로 뜻이 높은 자신을 비유하였다.
❏ 장생기오인간세[莊生寄傲人間世] 장생은 장주(莊周)를 이르는데, 그가 그의 저서인 장자(莊子)에서 우언(寓言)과 황당무계한 말들을 많이 하였기 때문에 한 말이다.
❏ 장생식미[張生識微] 장생은 진(晉) 나라 때의 장한(張翰)을 가리킨다. 장한은 일찍이 대사마 동조연(大司馬東曹掾)이 되었다가, 가을바람이 일어남을 보고는 자신의 고향인 오중(吳中)의 순채국[蓴羹]과 농어회[鱸魚膾]를 생각하여 말하기를 “인생은 자기 뜻에 맞게 사는 것이 중요한데, 어찌 수천 리 밖에서 벼슬하면서 명예와 작위를 구하겠는가.”라 하고, 즉시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가버렸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晉書 卷九十二>
❏ 장생월음[莊生越吟] 고향을 그리워함을 뜻한다. 장생(莊生)은 월(越) 나라 장석(莊舃)을 가리키는데, 장석이 초(楚) 나라에서 벼슬을 하다가 병이 들었을 때, 초왕(楚王)이 사람을 시켜 그가 고향을 생각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게 한 결과, 그는 병중에도 과연 고향을 생각하여 월 나라 노래를 하였다는 데서 온 말이다. <史記陳軫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송풍일[長松風日]~장수[張䇓]~장수[漳水]~장수[藏脩]~장수동[張瘦銅] (0) | 2020.09.08 |
---|---|
장성태백[長星太白]~장소[張昭]~장소[長嘯]~장송탁여라[長松托女蘿] (0) | 2020.09.08 |
장석운근[匠石運斤]~장석음[莊舃吟]~장성계운[長星繼隕]~장성괴[長城壞] (0) | 2020.09.08 |
장서[葬書]~장서선[掌書仙]~장석[丈席]~장석[匠石]~장석병[莊舃病] (0) | 2020.09.08 |
장생전[長生殿]~장생춘[莊生椿]~장생해수[張生解綬]~장생허주[莊生虛舟] (0) | 2020.09.08 |
장삼영[張三影]~장삼이사[張三李四]~장상군[長桑君]~장상동심[將相同心] (0) | 2020.09.08 |
장사기불평[壯士氣不平]~장사비습[長沙卑濕]~장사태식[長沙太息] (0) | 2020.09.08 |
장빈[漳濱]~장빈질[漳濱疾]~장사[長史]~장사[長沙]~장사[張槎] (0) | 2020.09.08 |
장본[獐本]~장봉의마[莊蓬倚麻]~장부[醬瓿]~장비[將非]~장비뇌만[腸肥腦滿] (0) | 2020.09.08 |
장물[長物]~장미로[薔薇露]~장박망[張博望]~장발[壯髮]~장보관[章甫冠] (0) | 2020.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