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임타[任他] 마음대로 하게 한다는 뜻이다. 종타(從他)·빙타(憑他).
❏ 임포[林逋] 송(宋) 나라 때의 은사(隱士)로 화정선생(和靖先生)이라고도 한다. 임포는 자가 군복(君復)인데, 명리(名利)를 구하지 않고 항주(杭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은거해 살면서 20년 동안 성시(城市)로 나오지 않았다. 서화를 잘 그리고 시를 잘 지었으며, 장가도 들지 않고 자식도 두지 않은 채 매화나무를 심고 학을 기르면서 지냈는데, 세상에서는 이를 ‘매처학자(梅妻鶴子)’라고 하였다. <宋史 卷457 隱逸列傳上 林逋>
❏ 임포서호악[林逋西湖樂] 송(宋)의 은사(隱士). 서호(西湖) 고산(孤山)에 20년 은거했다. 매화와 학을 몹시 사랑하였다.
❏ 임풍[林風] 한가한 은거 생활
❏ 임하부인[林下夫人] 으름. 산지(山地)의 다른 나무를 타고 오르는 낙엽성(落葉性) 덩굴 식물(植物). 줄기에 매달린 채 익어서 껍질이 벌어진 모습이 여자(女子)의 음부(陰部)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임하인[林下人] 벼슬을 그만두고 물러가 쉬는 사람을 말한다. 당(唐)나라 중 영철(靈澈)이 위단(韋丹)에게 지어 준 시에 “서로 만나면 다 벼슬을 쉬고 간다지만, 임하(林下)에야 어디 한 사람이나 보이더냐.[相逢盡道休官去 林下何會見一人]”라고 하였다.
❏ 임하풍[林下風] 진(晉) 나라 때 사안(謝安)의 질녀로서 뛰어난 여류 문인인 사도운(謝道韞)에 대하여 어떤 이가 평하기를 “신정이 소산하고 명랑하여 임하의 풍기가 있다.[神情散朗 故有林下風氣]”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九十六>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언최말[立言最末]~입우사원[入于沙苑]~입이출구[入耳出口]~입자유곡[入子幽谷] (0) | 2020.09.01 |
---|---|
입석[入石]~입설무속[立雪無粟]~입수작교룡[入水作蛟龍] (0) | 2020.09.01 |
입막빈[入幕賓]~입막지빈[入幕之賓]~입본[立本]~입사원[卄四員]~입산기호[入山忌虎] (0) | 2020.09.01 |
입곡[笠轂]~입구[入彀]~입극[立極]~입도고[入道苦]~입마도[立馬圖] (0) | 2020.09.01 |
임학보객[林鶴報客]~임행인[林行人]~임화정[林和靖]~입강[立僵] (0) | 2020.09.01 |
임춘[林椿]~임춘각[臨春閣]~임치[臨淄] (0) | 2020.09.01 |
임지[臨池]~임지공[任至公]~임천랍극[臨川蠟屐]~임천성탄[臨川聖歎] (0) | 2020.09.01 |
임제[臨濟]~임종절각건[林宗折角巾]~임중불매신[林中不賣薪]~임중불매신[林中不賣薪] (0) | 2020.09.01 |
임우[霖雨]~임원육실[臨沅六實]~임위궐[臨魏闕]~임전무퇴[臨戰無退] (0) | 2020.09.01 |
임약[荏弱]~임오구[林烏句]~임오시[林烏詩]~임오포[林烏哺]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