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임지[臨池] 글씨 공부를 말한다. 동한(東漢) 사람 장지(張芝)는 초성(草聖)의 칭호를 얻었는데 일찍이 못가에서 글씨를 익혀 못물이 먹물로 모두 새까맣게 되었다 한다.
❏ 임지공[任至公] 지극히 공평하게 내맡기다.
❏ 임참여간괴[林慚與澗愧] 공치규(孔稚珪)의 북산이문(北山移文)에 있는 말인데, 산에 숨었던 사람이 벼슬하러 세상에 나오면 숲과 시내도 부끄러워한다는 뜻이다.
❏ 임처사[林處士] 송(宋) 나라 때 매화와 학을 사랑한 임포(林逋)를 이른다.
❏ 임천[林泉] 산림천석(山林泉石)의 준말이다.
❏ 임천랍극[臨川蠟屐] 임천은 남조(南朝) 송(宋)의 산수 시인(山水詩人) 사영운(謝靈運)을 가리킨다. 그가 임천내사(臨川內史)로 있을 때 밀납을 바른 나막신을 신고 산에 오르기를 좋아하였다. 당 나라 원진(元稹)의 장경집(長慶集) 권18 봉화엄사공(奉和嚴司空) …… 등룡산락매대가연(登龍山落梅臺佳宴)에 “사공의 가을 생각 하늘가에 미치는데, 납극으로 산에 오름 국화 감상 위해서이네.[謝公秋思眇天涯 蠟屐登高爲菊花]”라고 하였다.
❏ 임천성탄[臨川聖歎] 공자가 시냇가에서 흘러가는 물을 보고는 “하늘의 운행도 이와 같다 할 것이니, 밤이고 낮이고 그치지 않는도다.[逝者如斯夫 不舍晝夜]”라고 탄식한 말이 논어(論語) 자한(子罕)에 실려 있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막빈[入幕賓]~입막지빈[入幕之賓]~입본[立本]~입사원[卄四員]~입산기호[入山忌虎] (0) | 2020.09.01 |
---|---|
입곡[笠轂]~입구[入彀]~입극[立極]~입도고[入道苦]~입마도[立馬圖] (0) | 2020.09.01 |
임학보객[林鶴報客]~임행인[林行人]~임화정[林和靖]~입강[立僵] (0) | 2020.09.01 |
임타[任他]~임포[林逋]~임하부인[林下夫人]~임하인[林下人]~임하풍[林下風] (0) | 2020.09.01 |
임춘[林椿]~임춘각[臨春閣]~임치[臨淄] (0) | 2020.09.01 |
임제[臨濟]~임종절각건[林宗折角巾]~임중불매신[林中不賣薪]~임중불매신[林中不賣薪] (0) | 2020.09.01 |
임우[霖雨]~임원육실[臨沅六實]~임위궐[臨魏闕]~임전무퇴[臨戰無退] (0) | 2020.09.01 |
임약[荏弱]~임오구[林烏句]~임오시[林烏詩]~임오포[林烏哺] (0) | 2020.09.01 |
임성유[衽成帷]~임순[紝紃]~임심리박[臨深履薄]~임안[臨安] (0) | 2020.09.01 |
임방애객[任昉愛客]~임비[任鄙]~임사흥주[妊姒興周]~임서하[林西河]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