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일세구천[一歲九遷] 1년에 아홉 번이나 자리를 옮길 정도로 임금의 은총을 받아 고속 승진한 것을 말한다. 역림(易林) 3 이지절(履之節)에 한() 나라 전천추(田千秋)가 하루 동안에 아홉 번이나 승진한 고사가 있으며, 한퇴지(韓退之)의 상장복야서(上張僕射書)하루에 천금의 은사를 받고 일 년에 아홉 번 관직이 올라갔다.[日受千金之賜 一歲九遷其官]”는 표현이 있다.

일세승침[一世升沈] 이 세상에 올랐다가 잠겼다 한다는 말이다.

일소[一笑] “부처가 가섭(迦葉)에게 심법(心法)을 전할 때에 꽃을 뽑아 들고 살짝 웃었다.[拈花微笑]”고 한다.

일소[一笑] 별로 대단치 않아 한번 웃고 치울 정도의 시시한 일에 대해서는 일소(一笑)에 붙인다. 깔보아 웃는 웃음.

일소[馹召] 역마(驛馬)로 급히 부르는 임금의 명을 말한다.

일소[逸少] () 나라 왕희지(王羲之)의 자. 그는 문장과 명필로 유명하였다.

일소문평반[一笑問平反] 아들이 정사를 잘 행하는 것에 행복을 느꼈다는 말이다. 평반(平反)은 억울한 죄를 다시 조사하여 무죄로 하거나 감형(減刑)해 주는 것이다. () 나라 준불의(雋不疑)의 모친이 아들에게 오늘은 평번을 해서 몇 사람이나 살렸느냐?”하고 묻고는 많은 사람을 구제했다는 대답을 들으면 기뻐서 웃곤 하였다는 고사가 있다. <漢書 雋不疑傳>

일소상동[逸少床東] () 나라 왕희지(王羲之)의 자()가 일소(逸少)인데, 태위(太尉) 치감(郗鑒)이 왕씨네 집에서 사윗감을 고를 적에 왕희지가 동쪽 상() 위에 누워서 호떡을 먹고 있다가 사위가 된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雅量>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