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인지[麟趾] 주 문왕(周文王)의 훌륭한 자손을 노래한 시경(詩經) 주남(周南) 인지지(麟之趾)에 “기린의 발을 보시게, 훌륭한 공자의 모습, 아 기린이 아니던가.[麟之趾 振振公子 于嗟麟兮]”라고 하였다.
❏ 인지경[麟趾慶] 훌륭한 자손들이 번성하는 것을 뜻한다. 인지(麟趾)는 시경(詩經) 주남(周南)의 편명으로, 주 문왕(周文王)의 자손이 번창한 것을 읊고 있다.
❏ 인지관저[麟趾關雎] 이상적인 부부 관계를 유지하면서 자손이 번창하는 복을 누리라는 말이다. 인지와 관저는 모두 시경(詩經) 주남(周南)의 편명(篇名)이다.
❏ 인지변엽[認枝辨葉] 석만경(石曼卿)의 홍매(紅梅) 시에 “복숭아꽃이라면 푸른 잎이 없어야 할 텐데, 살구꽃인가 하고 보니 가지가 파랗다네.”라 했는데, 소식(蘇軾)이 이에 대해 “지극히 비루한 말투다. 시골 서당의 말투다.”라고 하고는 다시 “시 짓는 노인네가 매화의 품격이 있는 줄은 모르고, 새삼스레 푸른 잎과 파란 가지만 보았더라.”고 하였다.
❏ 인지불천초[麟趾不踐草] 설문(說文)에 의하면, 기린은 인수(仁獸)로서 생초(生草)를 밟지 않고 생물(生物)을 먹지 않는다고 하였다.
❏ 인지상정[人之常情] 사람의 보편적(普遍的)인 인정(人情). 사람이면 누구나 가지는 보통의 인정.
❏ 인지우차[麟趾于嗟] 주 문왕(周文王)과 그 후비(后妃)가 인후(仁厚)하기 때문에 그의 자손 또한 인후함을 인수(仁獸)인 기린에 비유하여 노래한 시경(詩經) 주남(周南) 인지지(麟之趾)에 “기린의 발이여 인후한 아들이로소니 아 기린이로다[麟之趾 振振公子 于嗟麟兮]”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인지장사기언야선[人之將死其言也善] (새는 죽을 때가 되면 소리가 슬프고,) 사람은 죽을 때가 되면 그 말이 착하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거월저[日居月諸]~일거진궁[一炬秦宮]~일건괘신호[一巾掛神虎] (0) | 2020.08.28 |
---|---|
일감방당[一鑑方塘]~일개고신[一介孤臣]~일개시[一箇是]~일거[一炬] (0) | 2020.08.28 |
인화중지리[人和重地利]~인후[仁侯]~일각[日角]~일각천금[一刻千金] (0) | 2020.08.27 |
인치[磷緇]~인택[仁宅]~인패위공[因敗爲功]~인폭수화[仁暴水火] (0) | 2020.08.27 |
인천[人天]~인청[人靑]~인체[人彘]~인추란이위패[紉秋蘭以爲佩] (0) | 2020.08.27 |
인정냉난[人情冷暖]~인정번수이[人情飜手異]~인존정거[人存政擧] (0) | 2020.08.27 |
인작생천작[人爵生天爵]~인쟁성[認錚聲]~인적사양[隣笛斜陽] (0) | 2020.08.27 |
인자무적[仁者無敵]~인자필수[仁者必壽]~인자호반[人字號飯] (0) | 2020.08.27 |
인월[寅月]~인인[咽咽]~인일[人日]~인인[忍忍]~인인성사[因人成事] (0) | 2020.08.27 |
인액[人厄]~인여오계자[人如吳季子]~인연[因緣]~인욕완[印欲刓] (0) | 2020.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