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인작[人爵] “인의(仁義)와 충신(忠信)은 하늘의 벼슬[天爵]이요, 공경(公卿)·대부(大夫)는 사람의 벼슬[人爵]이다.”라고 하였다.
❏ 인작생천작[人爵生天爵] 맹자의 말에 “천작(天爵)이 있고 인작(人爵)이 있으니, 인의충신(仁義忠信)은 천작이요, 공경대부(公卿大夫)는 인작이다. 옛사람은 천작을 닦으면 인작이 따라왔다.”라고 하였다.
❏ 인재[仁齋] 이등인재(伊藤仁齋)로 일본 경도(京都)의 동굴천(東掘川) 사람인데 이름은 유정(維楨)이요, 호는 인재이며, 이락(伊洛)의 학에 뜻을 두어 고의당사숙(古義堂私塾)을 창설하여 제자를 교수하였다.
❏ 인쟁성[認錚聲] 송(宋)의 문장가 동파(東坡) 소식(蘇軾)의 일유(日喩)에 “나면서부터 눈이 먼 자가 태양을 보지 못하고 딴 사람에게 어떻게 생겼느냐고 묻자, 마치 쇠쟁반(징)처럼 생겼다 하고는 쇠쟁반을 두들겨 주었더니, 그 후 종소리를 듣고는 이것을 태양이라고 했다.”고 한 말에서 온 것이다.
❏ 인적[鄰笛] 고인이 된 친지나 벗을 추념(追念)할 때 쓰는 시적 표현이다. 삼국 시대 위(魏) 나라 혜강(嵆康)과 여안(呂安)이 사마소(司馬昭)에게 살해된 뒤, 그들의 친구인 상수(向秀)가 혜강의 고향인 산양(山陽)에 갔다가 이웃집에서 들려오는 피리 소리를 듣고는 옛날의 감회에 젖어 사구부(思舊賦)를 지었던 고사가 있다. <晉書 卷49 向秀傳>
❏ 인적사양[隣笛斜陽] 진(晉) 나라 혜강(嵆康)이 사마소(司馬昭)에게 피살당하고 나서 세월이 한참 지난 뒤에, 그의 절친한 친구 상수(向秀)가 혜강의 옛 거처를 지날 즈음에 해가 서산에 지면서 저녁 햇빛이 아련하게 비치고 땅에 차가운 얼음이 얼어 처연하기만 하였는데, 그때 마침 이웃집에서 들려오는 피리 소리를 듣고는, 옛 추억이 떠올라 눈물을 흘리며 ‘사구부(思舊賦)’를 지었던 고사가 있다. <晉書 卷49 向秀傳>
❏ 인적상심[隣笛傷心] 삼국 시대 위(魏) 나라 혜강(嵇康)과 여안(呂安)이 사마소(司馬昭)에게 살해된 뒤, 그들의 친구인 상수(向秀)가 혜강이 살던 산양(山陽) 땅을 지나다가 이웃집에서 들려오는 피리 소리를 듣고는 옛 추억을 떠올리고 슬퍼하며 ‘사구부(思舊賦)’를 지은 고사가 있다. <晉書 卷49 向秀傳>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화중지리[人和重地利]~인후[仁侯]~일각[日角]~일각천금[一刻千金] (0) | 2020.08.27 |
---|---|
인치[磷緇]~인택[仁宅]~인패위공[因敗爲功]~인폭수화[仁暴水火] (0) | 2020.08.27 |
인천[人天]~인청[人靑]~인체[人彘]~인추란이위패[紉秋蘭以爲佩] (0) | 2020.08.27 |
인지경[麟趾慶]~인지관저[麟趾關雎]~인지변엽[認枝辨葉]~인지우차[麟趾于嗟] (0) | 2020.08.27 |
인정냉난[人情冷暖]~인정번수이[人情飜手異]~인존정거[人存政擧] (0) | 2020.08.27 |
인자무적[仁者無敵]~인자필수[仁者必壽]~인자호반[人字號飯] (0) | 2020.08.27 |
인월[寅月]~인인[咽咽]~인일[人日]~인인[忍忍]~인인성사[因人成事] (0) | 2020.08.27 |
인액[人厄]~인여오계자[人如吳季子]~인연[因緣]~인욕완[印欲刓] (0) | 2020.08.27 |
인순고식[因循姑息]~인술[仁術]~인승녹패[人勝祿牌]~인승비근[引繩批根] (0) | 2020.08.27 |
인생예주[藺生睨柱]~인생조로[人生朝露]~인석[人石]~인선[麟楦]~인성[忍性] (0) | 2020.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