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이허[李詡] 명 나라 학자. 자는 후덕(厚德), 호는 계암산인(戒庵山人). 저서에는 조야의 전고(典故)와 시문 등을 기록한 계암만필(戒庵漫筆) 8권이 있다.
❏ 이험[夷險] 평탄함과 험난함으로 세상사의 우여곡절을 뜻한다.
❏ 이현령 비현령[耳懸令 鼻懸令]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이렇게도 저렇게도 될 수 있음을 이른다.
❏ 이현보[理縣譜] 남제(南齊) 때 부염(傅琰)이 산음령(山陰令)으로 있으면서 매우 선정을 베풀어 그 고을에서 신명(神明)으로 일컬어졌는데, 그의 부자(父子)가 똑같이 산음현을 잘 다스렸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이르기를 “부씨(傅氏) 집안에는 고을 다스리는 문서[理縣譜]가 있어 자손이 대대로 전한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南齊書·卷五十三>
❏ 이협[梨頰] 미인을 비유한 말이다. 송(宋) 나라 때 호전(胡銓)이 해외(海外)로 폄척되었다가 북으로 돌아가던 날에 상담(湘潭)의 호씨원(胡氏園)에서 술을 마시면서 지은 시에 “임금 은혜로 이렇게 돌아와 한번 취하노니 곁에 있는 이천은 보조개가 예쁘기도 하여라.[君恩許歸此一醉 傍有梨頰生微渦]”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이협(梨頰)의 이(梨)는 곧 시기(侍妓) 이천을 말한 것이다
❏ 이형[李衡] 이형은 오(吳) 나라 양양(襄陽) 사람인데, 그가 단양 태수(丹陽太守)로 있을 적에 감귤(柑橘) 1천 그루를 심었다.
❏ 이형거인천류창[羸形去認泉流漲] 두목(杜牧)이 국기(國棋)인 왕봉(王逢)을 전별한 시에 “엉성한 형체는 남몰래 봄 샘이 흐르듯 한다.”고 한 구절을 인용한 것인데, 이는 곧 바둑을 처음 놓을 때의 형체를 묘사한 것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익자삼우[益者三友]~익주몽[益州夢]~익지종[益智粽]~익퇴조[鷁退潮] (0) | 2020.08.26 |
---|---|
익겸[益謙]~익두[鷁頭]~익로[鷁路]~익서[鷁逝]~익수[鷁首] (0) | 2020.08.26 |
이환[泥丸]~이황[蜊蝗]~이효위충[移孝爲忠]~이후주[李後主] (0) | 2020.08.26 |
이화[籬花]~이화감[離和坎]~이화노제[里化魯齊]~이화무[梨花舞]~이화창[梨花槍] (0) | 2020.08.26 |
이혜[夷惠]~이호미[履虎尾]~이홍반[二紅飯]~이홍유적[泥鴻遺跡] (0) | 2020.08.26 |
이하[李賀]~이하[夷夏]~이하경[李下徑]~이합시[離合詩] (0) | 2020.08.26 |
이판사판[理判事判]~이편개전[以偏槪全]~이포새[伊蒲塞]~이필귀산[李泌歸山] (0) | 2020.08.26 |
이측하상[離昃何傷]~이칙[夷則]~이태[李兌]~이태금동잠[異苔今同岑] (0) | 2020.08.26 |
이초[麗譙]~이초[珥貂]~이총환[耳聰患]~이충[泥蟲]~이충[移忠] (0) | 2020.08.26 |
이천[伊川]~이천[二天]~이천견피발[伊川見被髮]~이천석[二千石] (0) | 2020.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