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이자[李資] 이자(李資)는 인조반정(仁祖反正)을 주도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 1등으로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에 봉해진 이귀(李貴)의 친형이다.
❏ 이자[李耔] 이자는 중종(中宗) 때 사람으로, 우참찬을 지냈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에 걸려서 파직된 뒤에 음성(陰城), 충주(忠州) 등지에 살면서 학문을 강마하였다.
❏ 이자[二子] 적송자와 왕자교.
❏ 이자노노[二子呶呶] 진(晉) 나라 완적(阮籍)이 지은 주덕송(酒德頌)에 “술 먹는 사람이 취해서 모든 것을 파탈하고 누워 있으면 벼슬하는 선비[縉紳處士]와 귀골의 집 젊은 사람[貴介公子]들은 그 취한 사람을 시비하고 비방한다.”고 하였으니, 두 사람이란 그 선비와 젊은 사람을 말하는 것이다.
❏ 이자릉[李子陵] 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이호민(李好閔)의 아들로 연천군(延川君)에 봉해진 이경엄(李景儼)을 가리킨다. 자릉은 그의 자(字)이다.
❏ 이자문[李子文] 자문은 이상질(李尙質)의 자(字)이다. 인조(仁祖) 10년에, 인조가 사친(私親)을 추숭(追崇)하려 하는 것을 극간(極諫)하다가 종성(鍾城)에 유배되었다.
❏ 이자시[李子時] 자시는 이민구(李敏求)의 자이며, 호는 동주(東州)이다. 이수광(李晬光)의 아들이다.
❏ 이자어고죽[二子於孤竹] 주 무왕(周武王)이 상(商) 나라를 치는 것을 간하다가 수양산(首陽山)으로 들어가 굶어 죽은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를 가리킨다.
❏ 이자현[李資玄] 고려 시대의 문인. 이자연(李子淵)의 손자이다. 문과 급제하여 대악서 승(大樂署丞)을 지내다가 선종(宣宗) 때 벼슬을 버리고 전국의 명산을 찾아 주람하던 중 춘천의 청평산(淸平山)에 이르러 보현원(普賢院)을 문수원(文殊院)으로 고치고 선학(禪學)에 심취하였다. 고려 예종이 그를 누차 부르자, 그는 나가지 않고 표(表)를 올려 사양하기를 “새의 본성대로 새를 길러서 종고의 걱정이 없게 하시고, 물고기를 관찰하여 물고기를 알아서 강호를 좋아하는 물고기의 본성을 이루게 하소서.[以鳥養鳥 庶無鐘鼓之憂 觀魚知魚 俾遂江湖之性]”라 하고 끝내 은거하여 여생을 마쳤다. <高麗史節要·高峯續集 卷二>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조[梨棗]~이조양조[以鳥養鳥]~이조지광영[二鳥之光榮]~이존욱[李存勗] (0) | 2020.08.26 |
---|---|
이정적막[鯉庭寂寞]~이정전[李程甎]~이제[夷齊]~이제묘[夷齊廟] (0) | 2020.08.26 |
이절동[李浙東]~이정[離亭]~이정[鯉庭]~이정[李楨] (0) | 2020.08.26 |
이적선원[李謫仙園]~이전[李全]~이전삼모[二典三謨]~이전투구[泥田鬪狗] (0) | 2020.08.26 |
이잠근숙계[珥簪勤夙戒]~이장[弛張]~이장경[李長庚]~이장길[李長吉] (0) | 2020.08.26 |
이이[李耳]~이이[咿咿]~이이[暆暆]~이인[里仁]~이인동심기리단금[二人同心其利斷金] (0) | 2020.08.26 |
이응[李膺]~이응주[李膺舟]~이의분청탁[二儀分淸濁]~이의인[二儀人] (0) | 2020.08.26 |
이윤[伊尹]~이윤성지임[伊尹聖之任]~이율배반[二律背反]~이은[吏隱] (0) | 2020.08.26 |
이위[伊蔚]~이유[夷猶]~이유[二酉]~이유염매[爾惟鹽梅]~이육[二陸] (0) | 2020.08.26 |
이운[梨雲]~이원반곡[李愿盤谷]~이원법부[梨園法部]~이원제자[梨園弟子] (0) | 2020.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