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이운[梨雲] 배꽃같이 새하얀 구름, 또는 많은 배꽃을 백운(白雲)에 비유하는 말이다.
❏ 이원[梨園] 광대들이 노래와 춤을 익히는 곳. 당 명황(唐明皇)이 좌부기(坐部伎)의 사람들 3백 명을 선발하여 법곡(法曲)을 가르치던 곳이다. <唐書 禮樂志>
❏ 이원[李遠] 당(唐) 나라 선종(宣宗) 때의 문사(文士)이다. 일찍이 항주 자사(杭州刺史)로 천거되었을 때, 그의 시에 “長日惟消一局棋”라는 구절이 있다는 이유로 황제가 난색을 표했는데, 다른 이의 해명을 듣고 그 자리에 임명한 결과 정사를 잘 처리했다는 고사가 있다. <唐詩紀事 卷56>
❏ 이원례[李元禮] 이원례는 후한(後漢) 때의 고사(高士)인 이응(李膺)을 말한다. 원례는 그의 자. 이응은 환제(桓帝)와 영제(靈帝) 때에 걸쳐 진번(陳蕃)·두무(竇武) 등과 함께 발호하는 환관들을 없애려다가 도리어 그들에게 당인(黨人)으로 몰려 동지(同志) 백여 명과 함께 피살되었다. <後漢書 卷六十七>
❏ 이원반곡[李愿盤谷] 이원은 당(唐) 나라 사람인데, 그가 반곡에 은거하려 할 때 한유(韓愈)가 그를 송별하였는바, 자세한 것은 한유의 송이원귀반곡서(送李愿歸盤谷序)에 나타나 있다.
❏ 이원법부[梨園法部] 왕궁(王宮)의 교향악단을 말한다. <唐書 禮樂志 12>
❏ 이원제자[梨園弟子] 이원은 배우(俳優)들의 기교(技巧)를 닦는 곳이고 제자란 곧 연극(演劇)하는 배우를 지칭하는 말이다. 당 현종(唐玄宗) 때 장안(長安)의 금원(禁苑) 안에 있는 이원에서 제자 3백 명을 뽑아 속악(俗樂)을 가르쳤던 데서 연유된 것이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자노노[二子呶呶]~이자어고죽[二子於孤竹]~이자현[李資玄] (0) | 2020.08.26 |
---|---|
이이[李耳]~이이[咿咿]~이이[暆暆]~이인[里仁]~이인동심기리단금[二人同心其利斷金] (0) | 2020.08.26 |
이응[李膺]~이응주[李膺舟]~이의분청탁[二儀分淸濁]~이의인[二儀人] (0) | 2020.08.26 |
이윤[伊尹]~이윤성지임[伊尹聖之任]~이율배반[二律背反]~이은[吏隱] (0) | 2020.08.26 |
이위[伊蔚]~이유[夷猶]~이유[二酉]~이유염매[爾惟鹽梅]~이육[二陸] (0) | 2020.08.26 |
이용[利用]~이용후생[利用厚生]~이우북당[伊優北堂]~이우항장[伊優骯髒] (0) | 2020.08.25 |
이오[夷吾]~이옹[伊翁]~이옹입락[李邕入洛]~이왕[二王] (0) | 2020.08.25 |
이여반장[易如反掌]~이연[貽燕]~이영각[邇英閣]~이예[夷羿] (0) | 2020.08.25 |
이양역우[以羊易牛]~이어서신[鯉魚書信]~이어풍[鯉魚風]~이여교[爾汝交] (0) | 2020.08.25 |
이아[爾雅]~이아경[爾雅經]~이아익[爾雅翼] (0) | 2020.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