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
|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
❏ 이정적막[鯉庭寂寞] 아버지가 돌아간 뒤라서 아버지의 교훈을 들을 길이 없음을 탄식한 말이다. 공자(孔子)가 일찍이 홀로 서 있을 때 아들 이(鯉)가 뜰을 지나자(過庭), 공자가 묻기를 “너는 시(詩)를 배웠느냐?”고 하니, 이가 “못 배웠습니다.”고 대답하자, 공자가 “시(詩)를 배우지 않으면 말을 할 수 없는 것이다.”라고 하므로, 이가 물러 나와 시(詩)를 배웠다는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季氏>
❏ 이정전[李程甎] 당(唐) 나라 때 한림청사(翰林廳舍) 앞 계단에 벽돌길이 있었는데, 겨울철이면 해그림자가 그 다섯 번째의 벽돌에 이르는 때가 학사(學士)들의 입직 시간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한림 학사 이정(李程)은 성품이 게을러서 항상 해그림자가 여덟 번째의 벽돌에 이르렀을 때야 입직을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그래서 당시 이정을 팔전학사(八甎學士)라고 부르기도 했다. <唐書 卷一百三十一>
❏ 이정치국기용병[以正治國奇用兵] 정도(正道)로 치국하고 기변(奇變)으로 용병한다. 도덕경(道德經) 57장에 나오는 말이다.
❏ 이제[夷齊] 이제는 백이(伯夷)·숙제(叔齊). 사기(史記) 백이열전(伯夷列傳)에 “백이·숙제는 무왕에게 천자인 주(紂)를 치는 것은 불의(不義)라고 간하였고 뒤에 주 나라가 천하를 차지하자 수양산(首陽山)에 숨어 굶어 죽었다.”고 하였다.
❏ 이제묘[夷齊廟] 백이(伯夷)·숙제(叔齊)의 사당. 백이숙제는 은(殷) 나라 말기의 의사(義士)로 고죽국(孤竹國)의 왕자였다. 고죽국은 현재의 하북성(河北省)과 열하성(熱河省) 부근에 있었다.
❏ 이제영[李濟永] 자는 내홍(內洪), 호는 동아(東阿). 영조 때 활동한 시인으로, 생애는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초[麗譙]~이초[珥貂]~이총환[耳聰患]~이충[泥蟲]~이충[移忠] (0) | 2020.08.26 |
---|---|
이천[伊川]~이천[二天]~이천견피발[伊川見被髮]~이천석[二千石] (0) | 2020.08.26 |
이지[李志]~이지[梨旨]~이지측해[以指測海]~이책인지심책기[以責人之心責己] (0) | 2020.08.26 |
이주[耳周]~이주곡[伊州曲]~이주행객[伊州行客]~이준[彝尊]~이중[二仲] (0) | 2020.08.26 |
이조[梨棗]~이조양조[以鳥養鳥]~이조지광영[二鳥之光榮]~이존욱[李存勗] (0) | 2020.08.26 |
이절동[李浙東]~이정[離亭]~이정[鯉庭]~이정[李楨] (0) | 2020.08.26 |
이적선원[李謫仙園]~이전[李全]~이전삼모[二典三謨]~이전투구[泥田鬪狗] (0) | 2020.08.26 |
이잠근숙계[珥簪勤夙戒]~이장[弛張]~이장경[李長庚]~이장길[李長吉] (0) | 2020.08.26 |
이자노노[二子呶呶]~이자어고죽[二子於孤竹]~이자현[李資玄] (0) | 2020.08.26 |
이이[李耳]~이이[咿咿]~이이[暆暆]~이인[里仁]~이인동심기리단금[二人同心其利斷金] (0) | 2020.08.26 |